'The Economist(영>한)'에 해당되는 글 10건
- 2012.03.14 :: 의료 쇼핑 (The Economist)
- 2012.03.14 :: Shopping around for surgery
- 2012.03.01 :: 훌륭한 학교가 주는 교훈 (The Economist)
- 2012.03.01 :: Lessons from a great school 1
- 2012.01.19 :: 한국의 시험
- 2012.01.19 :: Exams in South Korea
- 2012.01.09 :: 중국의 경제 분야 의사 결정
- 2012.01.09 :: China’s economic decision-making
- 2012.01.09 :: 삼성의 새로운 도박
- 2012.01.09 :: Samsung - The next big bet
미국의 의료
의료 쇼핑
기업은 의료비를 투명화하려고 한다.
2012년 2월 4일 / 뉴욕 / 출판본
미국인들은 2010년에 의료비로 2조 6천억 달러를 썼고, 이는 GDP의 18%나 차지한다. 그러나
그들 중 어떤 치료가 얼마가 들며 다른 치료와 비교하면 어떤지에 대해 미약하게나마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가격은
천차만별인데 이유도 없어 보인다 (표 참고). 보험 용어를
보려면 사전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미국인에게 보험 상품에 가입하는 일은 눈을 가린 채 집을 고른 뒤
고대 중동 언어로 쓰인 주택 담보 대출을 받고 나서 그 가격을 나중에 발견하는 일과 마찬가지다. 그런데
느리긴 하더라도 이런 상황은 변하는 중이다.
지난 10년 간 약값을 내는 방식은 변해왔다. 미국인의 건강 관련 소비는 더 느린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부분적으로는
불경기 때문이지만 전적으로 그런 것은 아니다. 이 성장률은 2002년과 2009년 사이에 매해 떨어졌다고 컨설팅 회사인 맥킨지 앤 컴퍼니의 데이비드 노트와 로드니 지멀 씨가 말한다. 이유는 많다. 예를 들어, 많은
값비싼 약의 특허 유효기간이 끝났다. 하지만 소비 습관 또한 변하고 있는 듯 하다.
대부분의 미국인 고용인은 고용주를 통해 건강 보험을 받는다. 그들은
으레 깨닫지 못하는 채로 그 비용을 부담한다. 회사는 건강 보험에 더 많은 비용을 낼수록 월급으로 지급할
돈이 줄어든다. 이제 고용주들은 비용에 대해 열심히 고민하는 직원들에게 장려금을 주려고 한다.
“소비자 주도적인 건강 보험 상품”에 따르면 고용인은 보험 적용을 받기 전에 어떤 치료든 비용의 일부를 내야 한다. 고용인 대부분은 건강 관련 소비를 위한 비과세 계좌를 갖고 있지만 그 계좌를 헐기 전에 한번 더 생각한다. 2006년에는 고용인 중 10%만 보험 회사가 치료비 나머지를 지불하기
전에 최소 1,000달러를 지불해야 했다. 2010년에는
그 비율이 세 배가 넘었다.
제너럴 일렉트릭 (GE)은 2010년에 월급을 받는 고용인들의 보험을 소비자 주도적인 건강 보험 상품으로 전환했다. 회사는 이들에게 더 경쟁적인 상품을 선택하기 위해 비교해보기를 권장했지만 고용인들은 정보 부족으로 인해 이런
비교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사람들은 ‘내가
능동적인 소비자가 되기를 원한다면 가격을 알아야겠다’고 말하기 시작했죠.” GE의 복지 제도 책임자인 버지니아 프로에스테익스의 말이다. 고용인들이
의사에게 가격을 물었을 때 의사들은 당황했다. 그들은 다양한 보험 회사들이 같은 치료에 대해 얼마를
지불하고 환자는 얼마를 지불하는지 짐작도 못했다. 공공 감시 조직인 정부 책임실 (GAO)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비슷한 문제들이 보고되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의료 개혁에 따르면 병원들은 매년 표준 가격을 열거해야 하며, GAO에 따르면 30개가 넘는 주에서 가격 투명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법안을 발의하거나 통과시켰다. 이런 조치들 중 아무 것도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사람들이 쇼핑을 할 수 있을 만한 충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곳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기업이 나서고 있다. 예를 들면, GE는 정보 회사인 톰슨 로이터를 고용해서 고용인들에게 다양한 치료 비용을 알려준다. 톰슨 로이터 사는 GE와 다른 회사 고용인들이 과거에 지불한 가격을
분석해서 다양한 병원과 치료소에서 제공하는 치료 비용을 알려준다.
캘리포니아 캐스트라이트 헬스라는 또 다른 회사는 투명성을 단독 임무로 삼았다. 캐스트라이트 사는 대기업과 협력하여 과거의 거래 내역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고용인들은 온라인으로 의사들을 둘러보며
환자들이 게시한 후기를 읽을 수 있다. 캐스트라이트 사는 트래블로서티 사가 항공 여행 업계에 한 일을
의료 업계에 하기를 원한다고 창립자 지오바니 코울라 씨는 말한다. 코울라 씨의 공동 창립자는 현재 오바마
행정부의 보건부 최고 기술 책임자이다.
이런 계획은 몇 가지 장애물과 마주친다. 의료는 항공보다
더 복잡하다. 여행자는 A지점에서 B지점으로 가고 싶다는 점과 많든 적든 어떤 항공사든지 자신을 안전하게 목적지로 데려다 줄 것임을 알고 있다. 따라서 항공권을 가격에 따라 정렬하기가 쉽다. 대조적으로 심장 질환을
가진 사람은 약을 먹어야 하는지, 수술을 받아야 하는지, 식단
조절을 해야 하는지, 아무 것도 안 해도 되는지에 대해 확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의학적 결정을 제대로 하려면 엄청난 양의 정보가 필요하다.
설상가상으로 건강 보험 회사들은 비용에 대한 자료 공유를 꺼린다고 톰슨 로이터 사의 소비자 의료 부장인
바비 컬루니 씨는 말한다. 보험 회사 한 곳이 한 병원과 제왕절개 수술에 대해 7,000달러를 지불하기로 계약하고, 또 다른 병원에는 같은 수술에
대해 10,000달러를 지불하기로 계약한 상태에서 이런 정보가 유출된다면, 앞선 병원이 더 높은 가격을 내라고 주장할 것이다. GE가 보험사들과
한 계약은 GE가 고용인의 과거 의료 거래 자료를 소유함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런 계약은 드물다.
이런 상황이라도 투명성 제고는 필연적으로 보인다. 영리한
보험사들은 저마다 고유한 도구를 선보이고 있다. 시그나 사는 톰슨 로이터 사의 기술을 이용해서 “치료비 산출기”를 지원한다. 또
다른 보험사인 애트나는 환자들이 매달 67,000번 이상 활용하고 있는 정교한 웹 툴을 제공하고 있다. 애트나의 메그 맥케이브 씨는 소비자들이 곧 자신의 스마트 폰을 써서 증상을 보고, 의사를 찾아서 가격을 비교한 뒤 방문일 예약까지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 같은 실험들은 보험사에 득이 될 것이다. 오바마 행정부의
의료 법이 발효하면 수백만 명이 곧 보험 갱신 시기에 쇼핑을 하게 될 것이다. 보험 상품은 이해하기
쉬울수록 더 많은 사람들의 선택을 받을 수 있다. 완전히 투명한 시장이 오기 까지는 수 년이 걸릴 것이다. 하지만 햇빛 한 줄기가 스며들고 있다.
출판본 / 산업
'The Economist(영>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opping around for surgery (0) | 2012.03.14 |
---|---|
훌륭한 학교가 주는 교훈 (The Economist) (0) | 2012.03.01 |
Lessons from a great school (1) | 2012.03.01 |
한국의 시험 (0) | 2012.01.19 |
Exams in South Korea (0) | 2012.01.19 |
Health care in America
Shopping
around for surgery
Companies
try to make health-care costs transparent
Feb 4th 2012 | NEW YORK | from the print edition
AMERICANS spent $2.6 trillion on health
care in 2010, a staggering 18% of GDP. Yet few of them have the faintest idea
what any treatment costs or how it compares with any other treatment. Prices
vary wildly and seemingly without reason (see chart). Insurance terms require a
dictionary. For most Americans, buying a procedure is akin to choosing a house blindfolded,
signing a mortgage in Aramaic, then
discovering the price later. Slowly, however, this is changing.
The past decade has seen a shift in how people
pay for medicine. Americans’ health spending is growing at a slower pace. This
is partly because of the downturn, but not entirely. The rate of growth fell
every year between 2002 and 2009, note David Knott and Rodney Zemmel of
McKinsey & Company, a consultancy.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is—for
example, many costly drugs have lost their patents. But spending habits also
seem to be changing.
Most American workers receive health
insurance through their employers. They typically shoulder the costs without
realising it. The more a company spends on health insurance, the less is left
over to pay wages. Now employers are trying to give staff an incentive to think
hard about costs.
Under “consumer-driven health plans”,
workers must cough up part of the price
of any treatment before their insurance coverage kicks in. Most have an untaxed
account to spend on health; they think twice before depleting it. In 2006 only 10% of workers had to pay at least
$1,000 before their insurer picked up the rest of the bill. By 2010 that share
had more than tripled.
General Electric (GE) shifted its
salaried employees into consumer-driven plans in 2010. It urged them to shop
around for bargains, but they found this nearly impossible due to a lack of
information. “People started saying: ‘If you want me to be an active consumer,
I need to know prices,’” explains Virginia Proestakes, the head of GE’s
benefits programme. When employees asked doctors for prices, the doctors were
baffled. They had no clue how much different insurers paid for the same
procedure, or what share a patient would pay. A recent study by the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GAO), a public watchdog, reported similar problems.
Barack Obama’s health reform requires
hospitals to list standard prices each year, and more than 30 states have
either proposed or passed laws to promote price transparency, according to the
GAO. None of these measures has come close to solving the problem. Few provide
enough data to allow people to shop around.
So private firms are having a go. GE, for example, hired Thomson Reuters, an information
firm, to show employees the cost of different services. Thomson Reuters
analyses prices from prior purchases—by workers at GE and other firms—to show
the cost of a given procedure at different hospitals and clinics.
Another company, Castlight Health of
California, has made transparency its sole mission. Working with big firms,
Castlight assembles data from past transactions so that employees can shop for
doctors online and read reviews posted by patients. Castlight wants to do for
health what Travelocity did for air travel, explains Giovanni Colella, the
founder. Mr Colella’s co-founder is now the chief technology officer for Mr
Obama’s health department.
These plans face several obstacles. Health
care is more complicated than flying. A traveller knows she wants to get from A
to B, and that more or less any airline will get her there in one piece. So it is easy to rank air tickets by price. By
contrast, someone with a heart problem may be unsure whether to pop pills,
operate, change his diet or do nothing. Informed medical decisions require a
tonne of information.
To make matters worse, health insurers
are reluctant to share data about costs, says Bobbi Coluni, who leads Thomson
Reuters’s consumer-health unit. If an insurer has a contract to pay one
hospital $7,000 for a caesarean and a contract to pay another hospital $10,000
for the same service, and this information leaks, the first hospital will lobby
for a higher price. GE’s contracts with insurers stipulate that GE owns the data from workers’ past health
purchases. But such agreements are rare.
Despite this, greater transparency seems
inevitable. Smart insurers are hawking their own tools. Cigna uses Thomson
Reuters’s technology to support its “cost of care estimator”. Aetna, another
insurer, offers a sophisticated web tool that patients use more than 67,000
times a month. Meg McCabe of Aetna hopes that consumers will soon be able to
use their smartphones to enter symptoms, find doctors, compare prices and
schedule an appointment.
Such experiments will serve insurers
well. If Mr Obama’s health law stands, millions will soon shop for insurance on
new exchanges. The easier the plan is to understand, the more people may pick
it. A fully transparent market is years away. But a bit of sunlight is creeping
in.
from the print edition | Business
'The Economist(영>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 쇼핑 (The Economist) (0) | 2012.03.14 |
---|---|
훌륭한 학교가 주는 교훈 (The Economist) (0) | 2012.03.01 |
Lessons from a great school (1) | 2012.03.01 |
한국의 시험 (0) | 2012.01.19 |
Exams in South Korea (0) | 2012.01.19 |
120220훌륭한_학교가_주는_교훈0223-24.pdf
Bagehot
훌륭한 학교가 주는 교훈
학교 자치권으로 인해 주목할 만한 성공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다른 학교들이 이들로부터 배울 수 있을까?
2012년 2월 4일 / 출판본
런던 서부 출신 젊은 교생 선생님인 대니얼 라일리 씨가 다닌 학교는 질이 너무 낮아서 결국 재학 중에 문을 닫았다. 놀라우리만치 담담한 어조로 회상하는 그의 말에 따르면 그 학교는 “정리가 안 된” 곳이었다. 학생 중 20% 미만이 수학과 영어를 포함하는 다섯 개의 GCSE(보통 16세에 치르는 시험과 관련한 중학생들에게 주요 기준이 되는 시험) 우수 성적을 받았다. 싸움이 일어나곤 했는데 몇 건은 칼이 연루되었고 체포되면서 종결되었다. 마약도 있었는데, 그 학교에는 어려운 환경을 가진 주택 지구 출신 학생들이 왔고, 교문 앞에는 갱들이 어슬렁거렸다. 그 곳의 교육은 “격려 받지 못했다”고 라일리 씨는 계속 담담하게 말한다. 수업시간에는 책 내용을 베끼면서 시간을 보냈다고 회상한다.
지난 노동당 정부 아래에서 실패한 십여 개 기관에 취해진 조치처럼 라일리 씨의 학교는 자립 학교로 바뀌었다. 자립 학교란 지역 위원회의 통제가 없어지고 직원 채용과 교육 방식에 대해 새로운 자율권이 주어지는 공립 학교이다. 6년이 지난 지금, 패딩턴 자립 학교는 동일한 지구에서 학생들을 뽑고 있다. 하지만 이 학교는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변했다.
작년 여름에는 학생 중 69%가 GCSE 우수 기준을 통과했는데 이는 전국 평균을 훨씬 앞지른 수치이다. 학생 절반 이상은 무료 급식을 받을 만큼 가난한 가정 출신이고, 3/4 이상이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다. 이런 환경은 이 학교 입학생들이 정부가 자주 쓰는 용어로 말하자면 특별히 “어려운” 대상임을 의미한다.
요즘 라일리 씨가 10대 학생들을 만나면 그들은 대학에 대한 조언을 구한다. 라일리 씨의 꿈은 패딩턴 자립 학교로 돌아가서 정규 교사가 되는 것이다. 이유를 찾기는 쉽다. 이 학교는 성공적이다. 최근에는 교육 표준실 조사관들로부터 “훌륭” 등급을 받았다. 더 주관적으로 말하자면 이 학교는 감동적인 곳이다. 차분한 느낌을 주면서 학문적으로는 야심 차다. 긍정적인 분위기로 가득 차 있다.
보수 자유민주당 연합은 학교의 자율권에 대한 신뢰가 컸다. 잉글랜드 지역에는 지금 1,500개의 자립 학교가 있다. 칼럼 한 개로 이런 믿음이 옳은지 그른지를 입증하는 척 할 수는 없다. 필자는 지난 달 더 실현 가능한 목표, 즉 성공적인 학교를 보면서 차별화 요인을 발견하기 위해 패딩턴 학교에서 시간을 보냈다. 두 개의 큰 교훈이 도출되었다.
첫째, 패딩턴 학교는 탁월한 사람들이 꾸려 나간다. 교원 중 유달리 높은 비율이 교육 우선이라는 자질이 뛰어난 대학원생들을 최소 2년 간 어려운 학교에 보내는 프로그램 출신이다. 교원들은 늦게까지 남아서 밤 10시까지 과제 클럽을 운영하고 (많은 학생들이 식구가 많은 집에 살기 때문이다.), 주말 워크샵에 자원한다. 영국 제조업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통해 열 다섯 살짜리들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는 직업을 바꾸기 전에 재무부 경제학자였다. 그의 경제학 GCSE 수업은 더 학문적인 주제를 홍보하려는 방법의 일환으로 개설한 시도이다. 수학은 최고 학년인 6학년 학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과목이고 그 다음은 과학이다. 학생들이 어려운 과목을 이수할 수 있다고 기대치하면 그들은 그런 과목을 요구할 것이라고 이 교사는 말한다. 학생들의 요청 덕에 이 학교는 이제 천문학 GCSE 수업을 개설하고 있다.
아프리카와 방글라데시, 이라크, 코소보, 캐리비안 제도 주섬 출신인 학생들의 가족들 또한 훌륭하다. 많은 가족들이 “시험과 고난”을 거쳐 영국에 왔다고 의사가 되려는 15살 소녀가 말한다. 그래서 “우리는 도전을 좋아해요”라고 한다.
두 번째, 패딩턴 학교는 특별한 방법을 사용한다. 좌우명은 “거리는 교문에서 끝난다”이다. 엄격한 복장 규정이 있는데, 학생들은 도착하면서 모자나 모자 달린 재킷을 벗어야 한다. 이들은 직업 세계를 대비해서 교육받는다고 교사가 말한다. 학생들이 사장님을 “짱”이라고 부른다면 그들에 대한 가치 판단이 이루어질 것이다. 학생들도 동의한다. 길거리 속어를 사용한다는 것은 학교에서는 쉬운 선택일 것이라고 10대 소년이 말한다. 슬프게도 “바깥” 세상은 호락호락하지 않을 것이다.
경쟁은 환영 받는다. 학생들은 6주 마다 개인 별 목표 대비 성취율에 따라 순위가 매겨지고, 그 결과가 게시판에 공공연하게 게시된다. 어려운 가정 생활은 지원에 대한 동기이지 변명에 대한 동기가 아니다. 어떤 학생들은 영어를 말하지 못하는 채로 입학한다. 그들은 최대 4년까지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만 기대치가 낮춰지지는 않는다.
교사들은 의미 있는 외관과 짧은 경고 손짓, 몇 초마다 이어지는 칭찬 등으로 작은 행동 하나 하나를 끊임없이 교정한다. 목표는 고지식한 공리주의식 훈육이 아니라 더 큰 논쟁을 피하는 것이다. 좋은 행동은 꾸준히 보상받고 탈선에는 항상 결과가 따른다. 학생들의 교복 옷깃은 합창단과 언어 학습, 후배 멘토링 등에 대한 에나멜 뱃지로 기울어져있다. 이 학교가 “훌륭” 등급을 받았을 때 학생들은 뱃지를 받지는 못한다는 소식에 풀이 죽었다. 이 학교의 훌륭하고 지칠 줄 모르는 교장 선생님인 올리 탐린슨 씨는 결국 교육 표준실 로고가 있는 청색과 금색의 에나멜 “훌륭” 뱃지를 만들었다.
변명도 없고, 장벽도 없다.
자립 학교를 비판하는 사람들, 특히 교사 노조의 일반적 비판은 자립 학교들이 어려운 학생들을 배제함으로써 비밀리에 선별을 한다는 것이다. 예전에 패딩턴 학교는 그 전 학교에서 온 학생 몇 명을 퇴학시켰지만 이제는 어려운 경우를 그 자체로 받아들인다. 어느 오전 회의에 교사들은 모든 인근 학교에서 거절당한 입학생의 성취도에 대해 논의했다. 그들은 성취율이 괜찮았다고 동의했는데 그 학생이 감옥에서 나온 첫 날이라는 점을 감안해서였다. 그러나 학생들은 안전하다고 느낀다. 이 곳은 초등학교보다 더 낫다고 12살 학생이 말한다. “사람들이 존중해주니까요.”
패딩턴 자립 학교는 탁월한 학교이다. 1,200명 전교생에게 좋은 점이다. 하지만 혜택을 받을 다른 학생들을 위해 패딩턴 학교의 장점인 훌륭한 교원들과 방법들은 다른 곳에도 알려져야 한다. 방법은 모방될 수 있다. 패딩턴 학교가 연합학습 재단이라는 자선 단체가 후원하는 자립 학교 망 중 하나라는 사실은 좋은 생각을 전파하는 움직임에 도움이 된다. 학교 일람표가 훨씬 더 많은 자료로 보강되고 있다는 사실도 패딩턴 학교의 성공을 더 드러나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 훌륭한 사람들은 모방하기가 더 어렵다. 하지만 패딩턴 학교의 역동적인 젊은 교사들은 학생들의 인생을 바꾸는 학교에서 일하는 게 행운이라고 한다. 대학교를 갓 졸업한 라일리 씨는 이들에 합류하기를 열망한다. 이 나라는 더 많은 라일리 씨가 필요하다. 패딩턴 학교처럼 열정을 불어넣는 학교들은 좋은 첫 단추이다.
출판본 / 영국
'The Economist(영>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 쇼핑 (The Economist) (0) | 2012.03.14 |
---|---|
Shopping around for surgery (0) | 2012.03.14 |
Lessons from a great school (1) | 2012.03.01 |
한국의 시험 (0) | 2012.01.19 |
Exams in South Korea (0) | 2012.01.19 |
Bagehot
Lessons from
a great school
Autonomy for
schools is producing some remarkable successes. Can others learn from them?
Feb 4th 2012 | from the print edition
DANIEL RILEY, a young trainee teacher
from west London, attended a school so bad that it was shut down while he was
there. It was, he recalls with commendable understatement, an “unstructured”
place. Fewer than 20% of pupils achieved five good GCSE passes, including
mathematics and English (the main benchmark for secondary students, involving
exams commonly taken at 16). There were fights. Some, involving knives, ended
with arrests. There were drugs—the school drew its pupils from tough housing
estates, and gangs prowled at the gates. The teaching was “not inspired,” Mr
Riley says, sticking with the understatement. He recalls lessons spent copying
texts from books.
As happened to a few dozen failing
institutions under the previous Labour government, Mr Riley’s school was turned
into an academy—a state school removed from local council control and given new
freedoms over staffing and teaching methods. Six years on, Paddington Academy
draws its pupils from the same estates. But the school is unrecognisable.
Last summer 69% of pupils met the
benchmark for good GCSEs, easily beating the national average. More than half
come from homes poor enough to earn free school meals and more than
three-quarters do not speak English as a first language, making its intake exceptionally
“challenging”, in Whitehall jargon.
Now when Mr Riley meets teenage students
they seek advice about university. His dream is to return to Paddington Academy
to teach full-time. It is easy to see why. The school is a success, recently
earning an “Outstanding” grade from Ofsted school inspectors. It is, more
subjectively, an impressive place. It feels calm and academically ambitious. It
hums with optimism.
The Conservative-Liberal Democrat
coalition has put great faith in school autonomy: there are now 1,500 academies
in England. A single column cannot pretend to prove that faith right or wrong.
Bagehot spent time at Paddington last month with a more modest goal, to look at
one successful school and try to discern what makes it different. Two big lessons
jumped out.
First, Paddington is built around
remarkable people. An unusually high proportion of staff come from Teach First,
a programme that sends highly-qualified graduates into challenging schools for
at least two years. Staff stay late for homework clubs that run until ten at
night (many pupils come from crowded homes) and volunteer for weekend
workshops. A teacher guiding 15-year-olds through a thoughtful debate on
British manufacturing was a Treasury economist before switching career. His
economics GCSE class is an experiment, part of a policy of promoting more
academic subjects. Maths is the most popular subject for the oldest, sixth-form
pupils, followed by sciences. Create an expectation that students can take hard
subjects, and they will demand them, the teacher says. Thanks to pupil
lobbying, the school now offers the astronomy GCSE.
The students’ families—from Africa,
Bangladesh, Iraq, Kosovo and the Caribbean in the main—are remarkable, too.
Many went through “trials and tribulations”
to reach Britain, explains a 15-year-old girl who plans to be a doctor, so “we
like a challenge”.
Second, Paddington uses distinctive
methods. A motto is: “the street stops at the gates”. There is a strict uniform
code, and pupils must remove hooded tops and caps as they arrive. Pupils are
educated for the professional world, says a teacher: if they call a boss
“Bruv”, value judgments will be made about them. Pupils agree. Using street
slang would be an easy option in school, says a teenage boy. Alas, the world
“out there” will not be easy.
Competition is embraced. Pupils are
ranked on progress against individual targets every six weeks, with results posted
publicly on a board. A difficult home life triggers support but not excuses.
Some pupils arrive speaking no English: they are offered up to four years’
specialist help, but expectations are not lowered.
Staff enforce the small details of
behaviour ceaselessly, with meaningful looks, a warning finger briefly held up,
or a word of praise every few seconds. The goal is not Gradgrindian discipline, but the avoidance of bigger
confrontations. Good deeds are consistently rewarded, lapses always have consequences. Pupils’ blazer lapels sag with
enamel badges for choir, language-learning, mentoring younger pupils and so on.
When the school gained its “Outstanding” grade, pupils were crestfallen to hear that this did not
bring a badge. The school’s excellent and tireless principal, Oli Tomlinson,
finally had “Outstanding” badges made in blue and gold enamel, bearing the
Ofsted logo.
No excuses, no barriers
A common charge from academy
critics—notably teachers’ unions—is that they practise selection on the sly by excluding difficult
pupils. Early on, Paddington did expel some pupils from the old school, but now
takes hard cases itself. At a morning meeting, staff discussed the progress of
a new pupil rejected by all neighbouring schools: it went well, they agreed,
considering it was his first day out of prison. Yet students feel safe. It’s
better than primary school here, says a 12 year old: “People respect you.”
Paddington Academy is a brilliant school.
That is great for its 1,200 pupils. But for others to benefit, Paddington’s
strengths—its remarkable people and methods—must be echoed elsewhere. Methods
can be copied. It helps that Paddington is part of a chain of academies
sponsored by a charity, the United Learning Trust, driving the spread of good
ideas. It also helps that school league tables are being beefed up with much more data, making Paddington’s success more
visible. Remarkable people are harder to reproduce. Yet Paddington’s dynamic
young teachers talk of their luck at working at a school which transforms
lives. Mr Riley, fresh from university, longs to join them. The country needs
more Mr Rileys. Schools as inspiring as Paddington are a good first step.
from the print edition | Britain
'The Economist(영>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opping around for surgery (0) | 2012.03.14 |
---|---|
훌륭한 학교가 주는 교훈 (The Economist) (0) | 2012.03.01 |
한국의 시험 (0) | 2012.01.19 |
Exams in South Korea (0) | 2012.01.19 |
중국의 경제 분야 의사 결정 (0) | 2012.01.09 |
한국의 시험
한 방 사회
한국을 번영시킨 체계가 무너지기 시작하고 있다.
2011년 12월 17일 / 서울 / 출판본
11월 10일 한국은 조용해졌다. 항공기는 지상에 묶였다. 사무실은 늦게 열렸다. 직장인은 출근길을 비워줬다. 경찰은 대기하면서 그 날 대입 시험을 치를 학생들의 비상 상황을 처리했다.
이 나라는 매년 이 시험일이 되면 움직임을 멈춘다. 이 날이 한국인 대부분의 인생에 가장 중요한 날이기 때문이다. 이 날 학생들이 치르는 객관식 시험지 한 벌은 그들의 미래를 결정한다. 점수를 잘 받는 학생들은 한국 최고 대학에 들어갈 수 있다. 이 대학들은 전통적으로 고위직 공무원이나 재벌 (거대) 기업의 잘 나가는 사무직 같은 평생 직업을 보장해왔다.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더 안 좋은 대학에 입학하거나 아예 대학을 못 갈 것이다. 그러면 이들은 덜 알려진 회사에 입사해야만 할 것이고, 이직이 힘들어서 여생을 그 회사에 틀어박혀 있을 지도 모른다. 몇 개의 오답에 색칠하는 것이 곧 한국 상류 사회로부터의 영원한 차단을 의미할 수 있다.
시험 하나에 그렇게 크게 의존하는 것이 한국에 몇 가지 이점이 되기는 한다. 효율성이 있다. 즉, 한 벌의 시험지는 똑똑하고 부지런한 청소년을 알아내서 사회의 빠른 흐름 속에 내놓는다. 성과중심적이다. 다시 말해서 가난하지만 영리한 한국인들이 아주 아주 열심히 공부하면 최상위층으로 올라갈 수 있다. 이 시험의 중요성 때문에 아이들은 수업에 집중하고 부모는 숙제하라고 잔소리할 수 있다. 그러면 결과적으로 한국의 교육 성과는 전 세계의 부러움의 대상이 된다. 한국은 경제 협력 개발 기구 (OECD)가 운영하는 등급평가 체계에서 꽤 앞서있는 국가이다. 2009년에는 상하이와 싱가포르, 홍콩 뒤를 잇는 4위였지만 1~3위는 국가 규모가 아니라 도시들이다.
한국의 잘 교육받고 근면한 인구는 국가 경제 기적의 원동력이 되어왔다. 한국은 1960년 이후 맨땅에서 광대역 인터넷 국가로 부상했다. 작년에는 세계 경제 침체에도 불구하고 경제가 6.2% 성장했다. 지식 경제 시대에 교육은 경제의 숙명이다. 따라서 교육 체제는 광범위한 긍정적 결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이 체제는 또한 거대한 비용을 치르고 있다. 우선, 고등학교가 지옥이다. 시험 두 달 전에 만난 일반적 학생인 김민성 군은 말수가 적고 낯을 가렸다. 기쁨이란 기쁨이 그에게서 빠져 나와 사실만 남은 듯 보였다. 그의 수업은 아침 7부터 오후 4시까지 계속되었고, 그 후에는 곧장 도서관으로 가서 자정까지 있었다. 김 군은 일주일에 7일을 공부했다. “익숙해져야 해요.” 그가 중얼거렸다.
그의 부모는 민성군 인생의 많은 시간을 교육에 대해 걱정하며 보냈다. 교사인 그의 아버지는 그에게 시간 관리법을 가르쳤다. 즉, 계획을 세워서 지키고 책상에서 지쳐 잠들지 말고 최대한 많이 복습할 것. 그의 어머니는 계속 “맛있는 음식”을 채우면서 “더 공부하되 너무 많이 하지는 말 것”을 요구했다.
민성 군은 특별히 대학에 가고 싶지는 않지만 그렇게 해야 한다는 “사회적 압박”을 느낀다고 말한다. 그는 스포츠 스타 스카우터라는 직업을 꿈꾸는데 이 직업에는 확실히 대학 학위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마지못해 인정한다. 한국에서는 “학위 없이는 [어떤] 직업[도] 구할 수가 없어요.”
민성 군에게 가장 행복한 시간은 친구들과 축구하는 점심 시간이었다. 그의 학교에서는 모든 아이들이 점심 시간 종이 치면 매점으로 달려가서 늑대처럼 서둘러서 국수를 먹어 치운다. 빨리 먹을수록 매일 값진 자유 시간이 더 많아질 것이다.
증권 중개사인 CLSA의 여론 조사에 따르면 한국 부모는 100%가 자녀의 대학 진학을 원한다. 그런 기대는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다. 한 설문에서는 한국 중•고등학교 학생 중 1/5이 자살 유혹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2009년에는 202명이 비극적이게도 실제로 자살했다. 한국 젊은이들의 자살률은 높다. 15-24세 100,000명 당 15명인데, 이에 비해 미국은 10명이고, 중국은 7명, 영국은 5명이다. 민성 군의 누나인 김지은 씨는 몇 년 전 시험을 치렀고, 당시를 회상하며 말한다. “이민을 생각했어요. 교육 체제가 너무 싫어서요.”
점점 더 많은 학생이 대학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에 고등 교육으로 인한 혜택은 줄어들고 있다. 한국의 모든 부모가 자녀의 대학 진학을 원하기 때문에 대부분이 진학한다. 25-34세 한국인 중 놀랍게도 63%가 대학 졸업자이며, 이 수치는 OECD에서 최고치이다. 1995년 이후, 학위를 위해 대학에 진학하는 한국인 비율이 30%라는 엄청난 증가추이로 2009년에는 71%에 이르렀다.
대단한 것 같지만, 한국의 청년들 중 그렇게 높은 비율이 취업요건에 반하여 학위를 추구한 혜택을 실제로 얻을 것 같지는 않다. 8월에 있었던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대학 졸업 후 네 달 간 대학 졸업자 40%가 직업을 구하지 못했다.
실업은 대부분의 가족이 겪는 큰 재정적 희생에 대해 좋지 않은 보답이다. 대학은 그 자체로도 비용이 많이 드는데 입학하기까지에도 그렇다. 부모들은 자녀가 대학 시험에 통과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할 것이다. 많은 부모는 방과 후에 자녀를 학원이라는 사설 입시 기관에 보낸다. 서울에 있는 가구들은 사교육에 수입의 16%라는 엄청난 비용을 쓴다.
서울 아이들
한국의 경직된 사회 모델은 이 나라의 극단적인 인구 문제를 악화시킨다. 한국 여성은 국가가 미래에 필요로 할 노동력을 제공할 만큼 충분한 수에 이르는 아기를 어디에서도 갖지 않고있다.
한국 여성이 노동 인구에 대규모로 진입하기 시작한 이후 자녀를 갖는 데 대한 기회 비용은 가파르게 증가했다. 직장은 휴직을 원하는 여성들을 거의 허용하지 않는다. 여성이 몇 년 동안 휴직하면 한국 기업에서는 서구 기업에 비해 이 여성의 복직 가능성이 훨씬 낮다. 그리고 기업이 자녀가 있는 직장 여성을 받아들인다고 해도 이 여성은 가혹한 선택지를 맞이할 것이다. 즉, 승진 기회를 버리든가 고정적으로오랜 시간을 일해야 한다.
유동적인 업무 시간이나 재택 근무는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이 점이 일과 보육을 병행하기를 대단히 힘들게 한다. 특히 한국의 어머니들은 자녀를 다그쳐서 공부를 잘 하도록 하는데 대부분의 책임을 질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자녀가 모든 중요한 시험을 통과하도록 양육하는 데 드는 직접적인 비용 또한 엄청나다. 한 아이를 매달 $1,000씩 드는 학원에 보내기란 충분히 힘든 일이다. 세 명의 학원비를 내는 건 살인이다. 부모는 교육적 무기 경쟁에 뛰어든다. 아이가 한 명만 있는 부모는 더 높은 비용을 낼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좋은 학원의 비용을 올린다. 이 점은 다른 부모가 아이를 더 적게 갖는 데 대해 심지어 추가적인 장려책으로 작용한다.
1960년 이후 한국의 출산율은 지구 상 어떤 곳보다도 빠르게 떨어져서 여성 한 명 당 자녀 6명에서 2009년 1.15명이 되었다. 그것은 인구학적 붕괴에 이르는 길이다. 한국 여성 한 명이 한 명만 낳으면 각 세대는 그 전 세대의 절반이 될 것이다. 한국은 노령화되어 세계의 변방으로 축소될 것이다.
정부의 우려가 놀라운 일은 아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공정한 사회”를 만들 필요성에 대해 말한다. 무엇보다 교육적 자질에 대한 태도 변화를 뜻한다. 그는 고용주들이 출신 대학 외의 기준으로 미래의 고용인을 평가하기 시작해야 한다고 한다. 9월에 그는 정부가 비 대졸 출신에 대한 고용을 늘리기 시작할 것이라고 공약했다. “교육적인 배경보다 장점이 더 많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그의 말이다.
변화를 위한 압력
이 대통령은 또한 한국 기업이 더 다양한 경험을 가진 사람들을 채용하기를 촉구하고 있다. 몇 군데는 그렇게 하기로 했다. 예를 들면 9월 대우 조선은 고졸 출신 채용을 시작해서 이들을 교육할 기관을 세울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한국의 대기업을 운영하는 대부분의 관리자들은 교육 배경이 전부였던 세대 출신이라 변화를 꺼릴 수 있다.
정부는 사교육비 때문에 잘 사는 아이들이 갖는 특혜를 줄이려고 노력 중이다. 2008년 이후 지역 정부는 학원의 운영 시간과 가격을 제한할 수 있게 되었다. 학파라치라는 자율 탐정들은 몰래 카메라를 들고 학원에 가서 학원비가 너무 비싸거나 지역 허가 운영 시간을 지키지 않는 학원들을 잡는다. 학파라치는 규정을 어긴 교육 기관에 부과되는 벌금 중 일정 몫으로 보상받는다. 그러나 학원은 여전히 우후죽순처럼 많아진다. 정부 통계에 따르면 거의 100,000개의 학원이 있다.
변화를 위한 마지막 동력은 한국의 젊은이들이다. 많은 젊은이들은 인생을 사는 법에 대한 해묵은 규칙들이 그들을 행복하게 할 것인지 묻고 있다. 음악인 강정임 씨는 솔직하게 말한다. “한국에서 원하는 방식대로 사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해요.” 그녀가 회상하는 고등학교는 최악이었다. “우리는 암기 기계 같았어요. 전 거의 매일 책상에 엎드려 잤어요. 선생님은 제게 소리를 치거나 분필을 던졌죠.”
강 씨는 한국의 상위권 대학인 연세대에 들어가서 부모님을 자랑스럽게 했다. 하지만 그 곳에 들어가자 행동이 변했다. 급진파와 어울려 다니며 마르크스와 푸코를 읽었다. 현수막을 흔들고 최루 가스를 마시며 시위 행진을 계속하다가 체포될 뻔도 했다. “즐기는 편이었어요. 정말 중요한 것을 하고 있다고 느꼈죠.” 그녀의 말이다.
정임 씨는 기타를 배웠다. 많은 “현장 연구”를 포함해서 한국의 여성 록 음악인들에 대한 논문을 썼다. “현장 연구”란 콘서트에 가거나 멋진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이었다. 좋아하는 그룹인 3호선 버터플라이의 보컬을 인터뷰하기도 했다.
정임 씨는 남성 친구와 밴드를 결성했다. 작은 공연장에서 공연을 몇 번 했지만 결국 친구가 언론사에 취직을 해서 더 이상 록 음악을 할 시간이 없었다. 그래서 강 씨는 솔로로 나섰다. 작곡을 하고 공연을 하며 “흐름”이라는 무대 이름을 사용했다. 앨범 작업을 하고 클럽에서 공연을 하고 있다고 한다. 정임 씨의 부모님은 정확히 말해서 기뻐하지는 않는다. 그들은 정임 씨가 번듯한 직업을 찾아서 결혼하기를 바란다. 그들의 친구들이나 친척들은 이렇게 묻는다. “네 딸은 뭐하니?”, “왜 그렇게 살게 놔둬?”
강 씨는 음악인 활동으로는 생계를 유지할 수 없어서 임시직을 하고 있다. 그녀는 많은 젊은이 중 한 명이다. 젊은이들 중 아르바이트를 하는 비율은 2000년 8%에서 2010년 23%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임시직으로 계약하는 25세 미만 직장인 비율은 없었는데 28%로 급증했다. 이런 현상은 부분적으로는 자금이 부족한 회사들이 평생 고용이라는 오랜 전통에서 물러서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많은 젊은이들이 30년 동안 같은 책상에 묶여 있기를 원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시장 조사 회사인 TNS에 따르면 한국인들은 다른 나라 국민들에 비해 그들의 회사에 훨씬 더 크게 생계를 의지하고 있다. TNS의 국제 표준이 답한 3/4에 비해 한국인들은 절반만 자신의 회사를 일하기 좋은 곳으로 추천한다. 48%만이 직장 생활에서 개인으로서 적당한 인정을 받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 수치는 집산주의 국가로 여겨지는 중국의 68% 직장인과 대비된다. 일본 직장인들만 불만이 더 크다.
이런 불만에도 불구하고 한국 직장인 중 79%는 여전히 1년간은 같은 회사에서 일할 것으로 예상한다. TNS는 이런 태도가 진실한 충성심이라기 보다는 이직의 어려움을 반영한다고 가정한다. “어쩔 수 없는” 고용인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런 평균치는 물론 다양한 경우를 포함한다. 한국의 어느 잘 나가는 회사원들은 고용주에 대한 강한 충성심을 느끼며 그들이 새로운 시장을 정복하도록 장시간 열심히 근무할 준비가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런 내부 조직은 꽤 작다. 재벌은 노동력의 10%만 고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재벌이 인재를 구하는 경직성을 보여주는 명문 대학에서만 채용하고 그들 사회에서만 승진시키는 방식으로는 한국 여성 중에서는 최고의 인재를 얻지 못할 뿐 아니라 시험 성적이 우수하지는 않은 영재들과 재능이 20대나 30대에 만개하는 뒤늦은 자기개발자들을 놓친다. 재벌은 또한 나이든 사람들이 아직 제공해줄 것이 많을 때 퇴직시켜버린다. (재벌은 나이 순으로 승진시키는 편이라 나이 든 직장인에게는 좋은 소리 같지만 그렇지 않다. 최상층에는 자리가 몇 개밖에 없어서 고위 관리자가 될 수 있는 나이에 이르면 승진하든 퇴직하든 둘 중 하나이다.)
자녀의 시험 성공을 기원하는 부모들
해외파의 전복적 사고
기존 경로로 최상층에 도달할 수 있는 똑똑한 한국인이 다른 길을 택하는 일은 여전히 드물다. 하지만 늘어나고 있기는 하다. 이런 변혁의 원동력 중 하나는 해외에서 유학한 한국인들이다. OECD에 따르면, 한국 대학생 중 13% 정도는 해외에서 공부하는데 이 수치는 선진국 중 가장 높다. 많은 유학생이 최근 몇 년 간 귀국했다. 그 이유는 적어도 자기 파괴적으로 어리석은 정책을 펴고 있는 미국 정부가 2001년 9월 11일 후에 유학생이 졸업 후 미국에서 취직하기를 훨씬 더 어렵게 해놓았기 때문만은 아니다. 듀크 대학교의 비벡 와드화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미국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부분의 유학생이 취업 비자를 얻지 못할 것을 우려했다. 게다가 지원 절차가 길고 수치심을 주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은 아예 시도하려고 하지도 않는다. 미국의 손실은 한국(을 비롯한 인도와 중국)의 이익이다.
귀국한 유학생들은 보통 영리하고 국내에 있는 또래들보다 전통에 덜 얽매여 있다. 예를 들면, 리차드 최 씨는 아버지가 재벌 기업의 해외 지점 관리자였는데 홍콩에 있는 영국 학교를 다니고 볼티모어에 있는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생명 의료 공학을 공부하며 미국의 신생 기업 문화를 익혔다.
한국에 돌아온 뒤 그는 고객이 가게의 제품을 친구들에게 추천하면 그 가게로부터 점포 점수를 받는 사업 모델을 기획했다. “이 파이가 맛있다고 생각하시면요,” 최 씨는 기자가 방금 사온 초콜렛 간식을 가리키며 말한다. “그리고 (최 씨 회사가 개발한 스마트 폰 앱인 스포카로) 그게 맛있다고 친구들에게 말하는 거에요. 친구들이 이 카페에 가서 돈을 쓰잖아요? 그러면 점포 점수를 얻게 되요.”
이 사업 모델이 효과를 볼 곳이 있다면 서울에서 가능할 것이라는 게 최 씨의 생각이다. 이 한국의 수도는 인구가 밀집해 있고 엄청나게 유기적이다. 여분의 돈이 있는 거의 모든 사람이 스마트 폰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사업이 잘 안되더라도 그는 아마 좋은 직업을 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서둘러야 한다. 그의 능력에도 불구하고 재벌 기업은 그가 서른 살을 넘으면 채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그는 알고 있다.
국내에서 공부한 소수의 한국인들도 기존 방식에 도전하고 있다. 젊은 인터넷 사업가인 찰스 표 씨는 열 네 살 때 어머니의 신용카드를 빌려서 웹사이트를 구축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그의 부모는 탐탁해하지 않았다. 그들은 대신 그가 공부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러던 중 그들은 수입이 생기는 것을 보고 허락했다. 찰스 씨는 3년 만에 $200,000를 벌었다.
그리고 나서 그는 연세대에 입학했다. 다른 학생들처럼 시험을 치렀지만 정말로 중요했던 것은 면접이었다. 면접에서 그는 자신이 특출한 재능을 가지고 있다고 설득했다. 한국의 대학들은 전통적으로 면접을 보지 않았지만 이제는 정부가 훨씬 더 많은 학생을 이런 식으로 선발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번영으로 가는 사다리
대학교에서 표 씨는 해커였던 김현철 씨와 의기투합했다. (10대에 김 씨는 사이버 테러 경보를 발동시켰다. 자신의 생일에 파일을 삭제하는 바이러스를 수십만 대의 컴퓨터에 감염시켰기 때문이다. 그는 검거되었지만 너무 어려서 감옥에 가지 않았다.) 이제 개과천선한 김 씨는 표 씨의 또 다른 회사 창업을 도왔다. 마법사 작업이라는 이 회사는 기업의 웹사이트를 더 잘 작동시키는 작은 소프트웨어 패킷인 “위젯”을 공급하고 곧 스마트 폰 용 “클라우드 컴퓨팅” 앱 판매를 개시하려고 한다. 아직 스물 다섯 살 밖에 안 된 표 씨는 이제 다른 회사까지 시작했다. 온라인 소셜 게임을 기획하는 루비콘 게임 사이다.
표 씨는 그가 하는 일이 회사원이 되는 것보다 훨씬 재미있다고 한다. 하지만 그가 좋은 직원을 뽑기는 힘들다. 그는 사람들이 재벌 기업에서 일하지 않으면 그만큼 똑똑하지 않기 때문일 거라고 생각한다고 불평한다. “사람들은 ‘내가 왜 댁을 위해 일합니까? 삼성이 아닌데.’라고 해요.”
최 씨도 같은 문제가 있다. “나이 든 사람들은 제 명함을 보고 ‘이게 뭐야?’라고 해요. 젊은 사람들은 제가 아무도 하지 않는 일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동경하고요. 하지만 제 회사나 삼성 중 직장을 고르라고 하면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대기업으로 가는 편이에요.”
표 씨는 더 많은 사람들이 혼자 힘으로 시작해 볼 용기를 가진다면 한국이 더 행복한 곳이 될 거라고 믿는다. 하지만 재능 있는 학생들은 “다른 사람들의 기대에 너무 신경을 많이 쓰죠”라며 한숨 짓는다. “그들은 친구들보다 뒤지는 것을 원치 않아요. 다른 무언가를 하면 실패로 보여질까봐 두려워하죠.”
편안해져야 하는 기적의 땅
한국의 경제 성장은 근면과 긍정적인 인구 분포 (1970년과 1990년 사이에 노동 인구의 급증), 선진국을 따라잡을 수 있는 많은 기회들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세계도 한국도 변했다.
한국은 부유해서 더 이상 다른 국가를 따라 하는 방식으로 빠른 성장을 할 수 없다. 나이 들고 축소되는 노동력으로는 역동적으로 남아 있을 수 없다. 사고(思考)보다 주입식 학습을 강조하는 학교 체제로는 창조적일 수 없다. 그리고 한국 사람들은 단 한번의 기회로 인생이 펴지고, 그 기회가 아직 십대일 때 오는 사회에서 모든 잠재력을 실현시킬 수 없다. 어떤 작가가 “기적의 땅”이라고 부른 대로 남아 있으려면, 한국은 긴장을 풀고, 성공할 수 있는 많은 방식을 허용해야 할 것이다.
'The Economist(영>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훌륭한 학교가 주는 교훈 (The Economist) (0) | 2012.03.01 |
---|---|
Lessons from a great school (1) | 2012.03.01 |
Exams in South Korea (0) | 2012.01.19 |
중국의 경제 분야 의사 결정 (0) | 2012.01.09 |
China’s economic decision-making (0) | 2012.01.09 |
Exams in South Korea
The one-shot
society
The system
that has helped South Korea prosper is beginning to break down
Dec 17th 2011 | SEOUL | from the print edition
ON NOVEMBER 10th South Korea went silent. Aircraft were grounded. Offices
opened late. Commuters stayed off the roads. The police stood by to deal with
emergencies among the students who were taking their university entrance exams
that day.
Every year the country comes to a halt on the day of the exams, for it is
the most important day in most South Koreans’ lives. The single set of
multiple-choice tests that students take that day determines their future.
Those who score well can enter one of Korea’s best universities, which has
traditionally guaranteed them a job-for-life as a high-flying bureaucrat or
desk warrior at a chaebol (conglomerate). Those who score poorly are
doomed to attend a lesser university, or no university at all. They will then
have to join a less prestigious firm and, since switching employers is frowned
upon, may be stuck there for the rest of their lives. Ticking a few wrong
boxes, then, may mean that they are permanently locked out of the upper tier of
Korean society.
Making so much depend on an exam has several advantages for Korea. It is
efficient: a single set of tests identifies intelligent and diligent teenagers,
and launches them into society’s fast stream. It is meritocratic: poor but
clever Koreans can rise to the top by studying very, very hard. The exam’s
importance prompts children to pay attention in class and parents to hound them
about their homework; and that, in turn, ensures that Korea’s educational
results are the envy of the world. The country is pretty much the leading
nation in the scoring system run by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In 2009 it came fourth after Shanghai, Singapore and
Hong Kong, but those are cities rather than full-sized countries.
Korea’s well-educated, hard-working population has powered its economic
miracle. The country has risen from barefoot to broadband since 1960, and last
year, despite the global slowdown, its economy grew by 6.2%. In the age of the
knowledge economy, education is economic destiny. So the system has had far-reaching
and beneficial consequences.
Yet it also has huge costs. For a start, high school is hell. Two months
before the day of his exams Kim Min-sung, a typical student, was monosyllabic
and shy. All the joy seemed to have been squeezed out of him, to make room for
facts. His classes lasted from 7am until 4pm, after which he headed straight
for the library until midnight. He studied seven days a week. “You get used to
it,” he mumbled.
His parents have spent much of Min-sung’s life worrying about his
education. His father, a teacher, taught him how to manage his time: to draw up
a plan and stick to it, so as to complete as much revision as possible without
collapsing exhausted on the desk. His mother kept him fuelled with “delicious
food” and urged him to “study more, but not too much”.
Min-sung says he doesn’t particularly want to go to university, but he
feels “social pressure” to do so. He dreams of getting a job as an agent for
sports stars, which would not obviously require a university degree. But he
reluctantly accepts that in Korea, “You can’t get [any] job without a degree.”
Min-sung’s happiest time was playing football with his friends during the
lunch hour. Every child in his school dashes to the cafeteria when the bell
goes and gulps down the noodles like a wolf in a hurry. The quicker they eat,
the more precious minutes of freedom each day will contain.
A poll by CLSA, a stockbroker, found that 100% of Korean parents want
their children to go to university. Such expectations can be stressful. In one
survey a fifth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aid they felt tempted
to commit suicide. In 2009 a tragic 202 actually did so. The suicide rate among
young Koreans is high: 15 per 100,000 15-24-year-olds, compared with ten
Americans, seven Chinese and five Britons. Min-sung’s older sister, Kim Jieun,
who took the exams a few years ago, recalls: “I thought of emigrating, I hated
the education system so much.”
As more and more students cram into universities, the returns to higher
education are falling. Because all Korean parents want their children to go to
university, most do. An incredible 63% of Koreans aged 25-34 are college
graduates—the highest rate in the OECD. Since 1995 there has been a staggering
30 percentage-point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Koreans who enter university
to pursue academic degrees, to 71% in 2009.
This sounds great, but it is unlikely that such a high proportion of young
Koreans will actually benefit from chasing an academic degree, as opposed to a
vocational qualification. A survey in August found that, four months after
leaving university, 40% of graduates had not yet found jobs.
Unemployment represents a poor return on what for most families is a huge
financial sacrifice. Not only is college itself expensive; so is getting in.
Parents will do anything to help their children pass the college entrance exam.
Many send them to private crammers, known as hagwon, after school. Families in Seoul spend a
whopping 16% of their income on private tuition.
Seoul children
Korea’s rigid social model aggravates the nation’s extreme demographic
problems. Korean women have stopped having anywhere near enough babies to
provide the country with the workforce it will need in the future.
Since Korean women started entering the labour force in large numbers, the
opportunity costs of having children have risen sharply. The workplace makes
few allowances for women who want to take a career break. If a woman drops off
the career track for a couple of years, Korean firms are far less likely than
Western ones to welcome her back. And if a firm does take back a working
mother, she will face a stark choice: drop off the fast track or work long and
inflexible hours.
Flexitime and working from home are frowned on. This makes it staggeringly
hard to combine work and child care, especially since Korean mothers are
expected to bear most of the responsibility for pushing their children to excel
academically.
The direct costs of raising children who can pass that all-important exam
are also hefty. Sending one child to a $1,000-a-month hagwon is hard enough. Paying for three is murder.
Parents engage in an educational arms race. Those with only one child can
afford higher fees, so they bid up the price of the best hagwon. This gives other parents yet another incentive
to have fewer children.
Since 1960 the fertility rate in Korea has fallen faster than nearly
anywhere on earth, from six children per woman to 1.15 in 2009. That is a
recipe for demographic collapse. If each Korean woman has only one baby, each generation
will be half as large as the one that came before. Korea will age and shrink
into global irrelevance.
Small wonder the government is worried. President Lee Myung-bak talks of
the need to create a “fair society”. That means, among other things, changing
attitudes to educational qualifications. He says he wants employers to start
judging potential employees by criteria other than their alma mater. In
September he promised that the government would start hiring more
non-graduates. “Merit should count more than academic background,” he said.
The forces for change
The president is also urging Korean firms to recruit people with a wider
range of experiences. Some have agreed to do so. In September, for example,
Daewoo Shipbuilding said it would start hiring high-school graduates and set up
an institution to train them. But the managers who run big Korean companies are
mostly from the generation in which academic background was everything, so they
may be reluctant to change.
The government is trying to reduce the leg-up that private tuition gives
to the children of the well-off. Since 2008 local authorities have been allowed
to limit hagwon hours and fees. Freelance snoops, known as hagparazzi, visit hagwon with hidden cameras to catch them charging
too much or breaking a local curfew. The hagparazzi are rewarded with a share of any fines
imposed on errant educational establishments. Yet still the hagwon proliferate. By the government’s count,
there are nearly 100,000.
The other force for change is Korea’s young people. Many are questioning
whether the old rules about how to live one’s life will make them happy. Kang
Jeong-im, a musician, puts it bluntly: “I think it’s difficult to live the way
you want to in South Korea.” High school was the worst, she recalls: “We were
like memorising machines. Almost every day, I’d fall asleep at my desk. The
teacher would shout at me or throw chalk.”
Ms Kang made her parents proud by getting into Yonsei, one of Korea’s
leading universities. But once there, she rebelled. She hung out with radicals
and read Marx and Foucault. She went on protest marches, waving a placard,
inhaling tear gas and almost getting herself arrested. “I kinda enjoyed it,”
she says, “I felt I was doing something really important.”
She learned to play the guitar. She wrote a thesis on female Korean rock
musicians that involved a lot of “field studies”: ie, going to concerts and
talking to cool people. She even interviewed the singer of 3rd Line Butterfly,
a group she loved.
She formed a band with a male friend. They played some gigs in small
venues, but eventually he took a full-time job at a news agency and no longer
had time for rocking. So Ms Kang started a solo career, writing songs and
performing them herself, using the stage name “Flowing”. She is working on an
album, she says, and performing in clubs. Her parents are not exactly thrilled;
they want her to find a respectable job and get married. Their friends and
relatives ask: “What is your daughter doing?” and “Why do you let her live like
this?”
Ms Kang cannot live on what she makes as a musician, so she takes
temporary jobs. She is one of many. Among the young, the proportion of jobs
that are part-time has exploded from 8% in 2000 to 23% in 2010; the proportion
of workers under 25 on temporary contracts has leapt from zero to 28%. This is
partly because cash-strapped companies are backing away from the old tradition
of lifetime employment, but also because many young people do not want to be
chained to the same desk for 30 years.
According to TNS, a market-research firm, Koreans are markedly more fed up
with the companies they work for than people in other countries. Only half
would recommend them as a good place to work, compared to three-quarters of
TNS’s global sample. Only 48% think they receive suitable recognition, as
individuals, for their work, compared with 68% of workers in supposedly
collectivist China. Only Japanese workers are more disgruntled.
Despite these gripes, 79% of Korean workers expect still to be working for
the same employer in a year’s time. TNS speculates that this attitude reflects
the difficulty of switching employers rather than genuine loyalty; it talks of
“captive” employees.
Such averages mask wide variation, of course. Some highflying Korean
salarymen feel intensely loyal to their employers and are prepared to slave
long hours to help them conquer new markets. But this inner circle is quite
small: the chaebol employ only 10% of the workforce. And the
rigid way that chaebol tend to seek talent—recruiting only from
prestigious universities and promoting only from within—means that, as well as
failing to get the best out of Korean women, they miss clever people who are
not much good at exams and late developers whose talents blossom in their 20s
or 30s. They also shunt older people into retirement when they still have much
to offer. (The chaebol tend to promote by seniority, which sounds
good for older employees but isn’t. There are only a few jobs at the top, so
when you reach the age at which you might become a senior manager, you are
either promoted or pensioned off.)
Parents praying for their children’s success in exams
Subversive ideas from abroad
It is still rare for a Korean who is clever enough to reach the top by the
conventional route to choose a different one; but it is becoming less so. One
fertile source of subversion is the Koreans who have studied overseas. Some 13%
of Korean tertiary students study abroad, according to the OECD, a higher
proportion than in any other rich country. In recent years, many have come
home, not least because the American government, in a fit of self-destructive
foolishness, made it much harder after September 11th 2001 for foreign students
to work in America after they graduate. A survey by Vivek Wadhwa of Duke University
found that most foreign students at American universities feared they would not
be able to obtain a work visa. And since the application process is long and
humiliating, many do not even bother to try. America’s loss is Korea’s (and
India’s, and China’s) gain.
Returnees are typically bright, and less beholden to tradition than their
stay-at-home peers. For example, Richard Choi, whose father was a
globe-trotting manager for a chaebol, attended a British school in Hong Kong
and learned about America’s start-up culture while studying biomedical
engineering at Johns Hopkins University in Baltimore.
Having returned to Korea, he has devised a business model in which
customers receive store credits from merchants for recommending their products
to their friends. “Let’s say you think this pie is good,” says Mr Choi,
pointing at a chocolate confection your correspondent has just bought. “And you
tell your friends about it [via a smartphone app developed by Mr Choi’s
company, Spoqa]. And they come to this café and spend money. Then you get store
credits.”
If this model will work anywhere, it will work in Seoul, figures Mr Choi.
The Korean capital is densely populated and splendidly connected: nearly
everyone with spare cash has a smartphone. And if it does not, he can probably
get a good job, he thinks. But he has to hurry. Even with his skills, he
reckons that no chaebol would hire him once he is over 30.
A few locally educated Koreans are also challenging the system. Charles
Pyo, a young internet entrepreneur, borrowed his mother’s credit card when he
was 14 and started a business helping people set up websites. His parents did
not approve; they thought he should be studying instead. But then they saw all
the money coming in, and relented. He made $200,000 in three years.
He then won a place at Yonsei University. He took the exam like anyone
else, but what really counted was his interview, in which he argued that he had
exceptional talents. Korean universities have traditionally spurned interviews,
but the government is now urging them to select many more of their students
this way.
On the ladder to prosperity
While at university, Mr Pyo teamed up with a former hacker, Kim Hyun-chul.
(In his teens, Mr Kim set off cyber-terror alarm bells by infecting hundreds of
thousands of computers with a virus that deleted files on his birthday. He was
caught, but he was too young to send to prison.) Now a reformed character, he
helped Mr Pyo start another company, Wizard Works, that supplies
“widgets”—little packets of software that make corporate websites work
better—and is about to start selling “cloud computing” apps for smartphones.
Still only 25, Mr Pyo has now started yet another company, Rubicon Games, that
designs online social games.
Mr Pyo says that what he does is much more fun than being a salaryman. But
it is hard for him to recruit good staff. People assume that if you don’t work
for a chaebol, it must be because you are not bright
enough, he gripes. “They say: ‘Why should I work for you? You’re not Samsung.’”
Mr Choi has the same problem. “Older people look at my business card and
say: ‘What’s this?’ Younger people admire the fact that I am doing something no
one else is doing. But given the choice of working for me or Samsung, people
are naturally inclined to go with a big company.”
Mr Pyo believes that Korea would be a happier place if more people had the
courage to strike out on their own. But talented students “care too much about
other people’s expectations,” he sighs. “They don’t want to fall behind their
friends. They fear that if they do something different they might be viewed as
a failure.”
The Land of Miracles must loosen up
The Korean economic boom was built on hard work, benign demography (a
bulge of working-age Koreans between 1970 and 1990) and plenty of opportunities
to catch up with richer countries. But the world, and Korea, have changed.
Korea is rich, so it can no longer grow fast by copying others. It cannot
remain dynamic with an ageing, shrinking workforce. It cannot become creative
with a school system that stresses rote learning above thinking. And its people
cannot realise their full potential in a society where they get only one shot
at doing well in life, and it comes when they are still teenagers. To remain
what one writer called “The Land of Miracles”, Korea will have to loosen up,
and allow many routes to success.
'The Economist(영>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ssons from a great school (1) | 2012.03.01 |
---|---|
한국의 시험 (0) | 2012.01.19 |
중국의 경제 분야 의사 결정 (0) | 2012.01.09 |
China’s economic decision-making (0) | 2012.01.09 |
삼성의 새로운 도박 (0) | 2012.01.09 |
120102중국의_경제_의사_결정.pdf
중국의 경제 분야 의사 결정
신중한 선대응
중국 2012년 경제 정책 공개?
2011년 12월 17일 / 북경 & 홍콩 / 출판본
10년 전 중국이 세계무역기구에 입성한 기념일인 12월 11일 기념식에서 후진타오 주석은 중국의 전면 개방에 있어서 “새로운 역사적 국면”이라고 축사했다. 다음날 후 주석과 관련 지도자들은 군이 운영하는 게스트하우스로 자취를 감추고, 2012년 중국의 경제 운영 방침을 정하기 위해 3일 간 비공식 회의를 했다. 그들의 결론을 일축하면 이렇다. “극도로 암울하고 복잡한” 경제 전망에 직면하여 신중한 통화 정책과 선제적 재정 정책을 고수하기.
연례 중앙 경제 직무 컨퍼런스 (CEWC)는 향후 12개월에 대한 중국의 경제 정책 결정을 위한 분위기를 좌우한다. 통치 정책 결정 위원회, 정부 각료, 지자체 수장, 군 지도자, 은행장을 비롯한 기타 국유 대기업 사장들이 참석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비밀 유지는 당연지사이다. 날짜가 사전 공지되지도 않고, 위치도 알려지지 않는다. (그렇더라도 이 행사가 북경 서부 지역에 있는 징씨 게스트하우스에서 삼엄한 경호 속에 진행된다는 사실은 공공연한 비밀이다. 징씨 게스트하우스는 공산당이 선호하는 대규모 비공개 회합 장소이다.)
12월 14일에 끝난 올해 컨퍼런스는 물가 압력보다 성장에 대한 우려가 더 커 보였다. 물가상승은 이제 진정되고 있다. (소비자 물가는 여름에 6.5%로 최고점을 찍은 후 11월까지 연 4.2% 가량 올랐다.) 달러 유입 또한 느려지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유동성 원인 하나를 제거한다. 그것은 정부가 은행에게 요구하는 지급 준비금을 낮출 수 있게 했다. 경제 전문가 대부분은 중국 정부가 새해에 지급 준비금을 낮춰나갈 것이라 예상한다. 그럼에도 CEWC는 통화 정책을 설명하면서 물가상승 제압이 우선 과제였던 작년에 쓴 “신중하게”라는 단어를 택했다. 이는 정부 지도자들이 지급 준비금을 낮추는 데 있어 조심스럽게 조치할 것임을 시사한다.
(놀랍게도 재정과 통상 담당 장관들을 포함하지 않는 25명으로 구성된) 정책 결정 위원회 또한 컨퍼런스 전날 강경한 언사를 남겼다. 부동산 시장 투기 제한 정책을 변함없이 밀고 나갈 것이라 공언한 것이다. 이로 인해 상하이 증권가 지수는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2009년 3월 이래 최저치로 떨어졌고,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특히 하락했다.
회의의 규모에도 불구하고 상세한 논의는 주요 쟁점에 대한 평이한 설명 외에 대중에게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더 자세한 설명을 들으려면 일반 국민은 중국의 거수기 입법부인 전국 인민 의회 (NPC)가 3월에 모일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NPC는 또 한 해의 공식적인 성장 목표를 고시할 것이다. 2011년을 비롯한 지난 7년간 목표 성장률은 8%였고, 이 수치를 중국 경제는 으레 2% 포인트 이상 초과 달성한다. 하지만 8%는 2012년 성장률보다 높을 전망이다. 노무라 은행은 성장률이 7.9%에 그칠 것이라고 예고한다.
극도로 암울한 2009년에 8% 성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중국 지도자들은 지방 정부가 선호하는 모든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은행이 자금을 지원할 수 있게 장려했다. 올해 성명서에서는 어떤 단어도 그들이 아주 극적인 무언가를 기다릴 것임을 시사하지 않는다. “선제적” 재정 정책은 다만 공공 복지에 대한 지출을 늘리는 한편, 중소기업과 서비스 산업에 대한 세금을 감면시킬 것이다.
컨퍼런스 회의록은 쉽게 볼 수 없으므로 장려책에 포함되지 않은 사람들은 2003년 은퇴한 중국의 전 총리, 주룽지의 언급을 참고할 수 있다. 9월에 출간된 그의 연설집에는 CEWC에서 연설한 기록들이 포함되어 있다. 언젠가 그는 성장세가 곤두박질치면 “즉각적인 혼돈”이 뒤따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주 주석은 그 회의장 자체에 대해서도 말한 적이 있다. 그는 비슷한 매력을 지닌 웅장한 건축물들에 대해 지방 관리들을 질타할 때조차 징씨 게스트하우스를 “근사하고 훌륭하다”고 했다. 이런 회의에서 중국 지도자들은 항상 성장과 과잉에 대한 걱정과 우려에 사로잡혀 있다. 비밀도 아니다.
'The Economist(영>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시험 (0) | 2012.01.19 |
---|---|
Exams in South Korea (0) | 2012.01.19 |
China’s economic decision-making (0) | 2012.01.09 |
삼성의 새로운 도박 (0) | 2012.01.09 |
Samsung - The next big bet (0) | 2012.01.09 |
Prudent and proactive
China unveils
its economic policy for 2012, sort of
Dec 17th 2011 | BEIJING AND
HONG KONG | from the print
edition
AT A ceremony on
December 11th to mark the anniversary of China’s admission to the World Trade
Organisation a decade ago, President Hu Jintao commemorated “a new historical
stage” in the country’s opening up. The next day he and fellow leaders
retreated to an army-run guesthouse for a secretive three-day meeting to decide
how to run China’s economy in 2012. Their gnomic conclusion: to maintain a
“prudent monetary policy” and a “proactive fiscal policy” in the face of an
“extremely grim and complicated” global outlook.
The annual
Central Economic Work Conference (CEWC) sets the tone for China’s economic
policymaking for the next 12 months. Attended by members of the ruling
Politburo, government ministers, provincial chiefs, military leaders and heads
of banks and other big state-owned companies, secrecy is the watchword. No
dates are officially announced in advance, nor even the location (although it
is an open secret that it takes place at the heavily guarded Jingxi guesthouse
in western Beijing, the Communist Party’s favourite spot for large closed-door
gatherings).
This year’s
conference, which ended on December 14th, seemed more worried about growth than
about price pressures. Inflation is now receding (consumer prices rose by 4.2%
in the year to November, after peaking at 6.5% in the summer); and dollar
inflows are also slowing, removing one source of extra liquidity. That has
allowed the government to cut the amount it tells banks to keep as reserves.
Most economists expect it to carry on cutting in the year ahead. Nonetheless,
the CEWC chose to describe its monetary policy with the same word (“prudent”)
it used last year, when fighting inflation was the priority. It suggests the
leaders will cut cautiously.
The Politburo
(whose 25 members, amazingly, do not include the ministers responsible for
finance and commerce) also struck a hawkish note on the eve of the conference,
promising to remain “unswerving” in its campaign against property-market
speculation. That sent Shanghai’s stockmarket index down to its lowest level since
March 2009 (see chart), with property developers suffering especially.
Despite the
scale of the meetings, little detail of the discussions is revealed to the
public beyond a bland description of the main points. For a more detailed
explanation, ordinary Chinese have to wait until the country’s rubber-stamp
legislature,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NPC), meets in March. The NPC will
also reveal the official growth target for the year. In 2011 and the six
previous years, it was 8%, a figure China’s economy typically overshoots by two
percentage points or more. But 8% would be more of a stretch in 2012. Nomura, a
bank, forecasts growth of only 7.9%.
To meet their 8%
growth target in the extremely grim year of 2009, China’s leaders invited local
governments to indulge every pet project, and encouraged the banks to finance
them. Nothing in this year’s statement suggests they will resort to anything so
dramatic. Their “proactive” fiscal policy will instead cut taxes on small firms
and service industries, as well as increase spending on public services.
For a rare
glimpse into conference proceedings, those without invitations can turn to
China’s former prime minister, Zhu Rongji, who retired in 2003. A series of his
speeches published in September includes several delivered at CEWCs. In one, he
warned that if growth were to slump, “immediate chaos” would follow. And Mr Zhu
also revealed something about the venue itself. He described the Jingxi
guesthouse as “resplendent and magnificent”, even as he castigated local
officials for building edifices of similar glamour. At these meetings, China’s
leaders are always caught between their worries about growth and their fears of
excess. That’s no secret.
'The Economist(영>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시험 (0) | 2012.01.19 |
---|---|
Exams in South Korea (0) | 2012.01.19 |
중국의 경제 분야 의사 결정 (0) | 2012.01.09 |
삼성의 새로운 도박 (0) | 2012.01.09 |
Samsung - The next big bet (0) | 2012.01.09 |
삼성의 새로운 도박
2011. 10. 1. / 서울 / 출판본
이 세계 최대의 IT 기업은 녹색 기술과 건강 사업을 시작하려
한다. 삼성은 조심해야 하고, 경쟁사는 주목해야 한다.
2000년, 삼성은 디지털 제품에
사용되는 배터리 제조를 시작했다. 10년 후, 그 기업은
세계에서 어떤 다른 기업보다 더 많은 배터리를 판매했다. 2001년,
삼성은 평면 TV에 자원을 쏟아 부었다. 4년
만에 회사는 시장 선도 기업이 되었다. 2002년, 그 회사는
플래시 메모리에 막대한 투자를 했다. 이 기술은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현실로 만들었으며, 삼성이 애플의 최대 공급자이자 하드웨어 부문 경쟁사가 되게 했다.
이 같은 대담한 도박에서 거둬들인 막대한 수익은
이 한국 기업을 거물로 만들었다. 작년 이 기업의 판매 수익은
1,350억 달러를 넘었다. 이제 이 기업은 전자 제품에서 아직까지 뛰어들지 않았던 기술로
눈길을 돌리려는 지금까지처럼 과감한 계획에 착수하고 있다. 삼성은 향후 십 년간 태양열 판,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 (LED), 전기 자동차 배터리, 의료 기구 및 의약품 분야에 20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 같은 사업 분야는 삼성의 위상을 대체되기 쉬운 전자 도구에서 더 필수적인 제품으로 이동시킨다. (아래 표 참고) 이 회사에서는 이 점에 대해 “정보 오락”에서 “생활
관리”로 바뀌는 것이라고 표현한다. 삼성은 전자 제품이 20세기의 흐름을 장악했듯이 녹색 기술과 건강 관리가 21세기에 중심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같은 계획을 가지고 삼성은 사회에 필수적인
기술을 훨씬 더 폭넓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들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 기업은 항상 단순한 손익 잔고를
넘어서는 시각을 갖고 있었다. 이렇게 한국의 진보를 대표하고 촉진해왔다. 이제 이 기업은 이상적으로 세계를 발전시키는 방안에 대해 말하고 있다. 무탄소
전력의 비용을 낮추고, 오늘날 비용을 충당할 수 없는 극빈국과 지방 지역에 의료 장비와 의약품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런 계획은 또한 세계 최대 기업 일부에게 도전하는 야심 찬 산업권 힘의 과시이다. 성공하면 삼성은 새로운 반열에 오를 것이다. 실패한다면 이 기업은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을 잃고 더 이상 필수적인 전자 제품과 부품 제조업체로서의 위상을 누릴 수 없을 것이다.
삼성의 놀랍도록 복잡한 구조에 묶여 있는 83개 기업은 한국
총 수출량의 13%를 쏟아낸다. 그 중 최대 기업인 삼성
전자는 1969년 휴대용 소형 라디오를 만들기 시작한 이후 텔레비전을 비롯한 많은 제품의 세계 선도
제조회사로 진화해왔다. 삼성은 내년에 생산량 측면에서 세계 최대 핸드폰 제조 회사인 노키아를 물러나게
할 전망이다. 브랜드 가치를 평가하는 컨설팅 회사인 인터브랜드는 삼성을 세계 20위권으로 보고 있다. 소니와 나이키를 앞선 순위이다. 삼성은 미국 등록 특허 수 순위에서 5년 연속 IBM만 앞에 둔 2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삼성은 가격 하락과 적은 순이익, 빠른 제품 주기, 변덕스러운 고객으로 고통을 겪는 시장인 소비자 가전 제품 분야에서 벗어나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다. 중국의 경쟁사들은 삼성이 과거에 서구와 일본 기업에게 했던 일은 삼성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오늘날 우리 제품의 대부분이 10년 안에 사라질 것이다.” 삼성의 수장이자 회장인 이건희가 지난 1월 고의적인 경고의 어조로
임원들에게 말했다.
그는 회사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포착한 신사업 분야로 진입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제휴 업체들과의 협력에
회사를 전면 개방하고 인수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삼성은 이 같은 관점에서 폐쇄적인 세계였다. 이러한 경향은 1990년대 PC 제조업체를
잘못 인수한 후 강화되었다. 그러나 이제 삼성은 새로운 기술과 판매 활로, 고객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고 있다.
삼성 따라 하기
삼성의 이건희 회장은 2020년까지 다섯 개의 신사업 분야가 총 수익 500억 달러를 벌어들이고, 삼성 전자는 4,000억 달러 자산을 보유한 회사가 되기를 원한다. (직원들에 대한 그의 모든 도발적 언사에도 불구하고 삼성은 여전히 많은 평면 화면과 메모리를 판매할 것이다.) 삼성 전략팀의 한인국 씨는 이것이 기고만장한 목표임을 인정한다. 그러나 10년 전, 이 회장이 당시 230억
달러의 매출을 올리고 있던 삼성이 매출 1,000억 달러의 제일 IT
기업이 될 수 있다고 말했을 때 사람들은 의아해했다. 8년 만에 삼성은 그 기록을 세웠다. 한인국 씨는 ‘이것이 우리를 믿어야 하는 이유’라고 말한다.
새로운 사업은 놀랍도록 확연히 달라 보이지만
거대 자본 투자와 매우 신속한 생산 규모 확대가 필요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두 가지는 과거에 삼성이
철저하게 활용했던 재능이다.
삼성의 성공은 작지만 빠르게 성장하는 기획
분야에 근거하고 있다. 이상적으로 이 분야는 또 자본 집적이 필요해서 경쟁사의 추격을 어렵게 해야 한다. 삼성은 기술에 익숙해질 때까지 발을 담그고 있다가 기회가 오기를 기다린다. 액정
화면이 2001년에 40인치까지 커지자 삼성은 제조를 확대해서
텔레비전 사업으로 전환했다. 플래시 메모리 분야에서는 신기술로 인해
1 기가바이트를 칩에 담을 수 있게 되자 대량 생산 체재로 돌입했다.
기회를 포착하면 삼성은 해당 분야에 막대한
현금을 투자한다. 최대한 신속하게 최대 생산 체제로 전환하면 기존 기업에 대해 가격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게 될 뿐만 아니라 설비 제조업체에게는 주요 고객이 된다. 이런 관계는 이후 삼성이 선도 업체로서의
자리를 지키게 한다.
이런 전략은 주변 상황을 잘 이용하는 것이다. 삼성은 기술을 발전시키는 대신 매입함으로써 혁신에 대한 위험이 아닌 시행에 대한 위험을 가져간다. 삼성은 “빠른 추격자”라는
명성을 얻는 만큼 훨씬 더 큰 생산 체재를 가동시키면서 개척 기업의 뒤를 따라가고 있다. 대규모 투자는
과거에 정부의 암묵적인 보증 아래 대기업에 우호적인 금융권에서 저금리 자금 대출을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정부의
이런 태도는 그렇지 못한 경쟁사들에게 많은 불만을 야기했다.
위기에서 위기로
경쟁사들은 또한 신속한 생산 규모 확대로 자사
제품 가격을 낮게 책정하는 한편, 다른 기업에 부품을 공급는 삼성의 방식을 꺼린다. 다른 기업에 부품을 공급하면 삼성의 비용은 훨씬 더 낮아진다. 삼성의
경쟁사가 사실상 성공에 자금을 대는 셈이다. 이런 전략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삼성은 스마트 폰과 태블릿 컴퓨터 시장에서 애플의 가장 중요한 공급자이다. 모든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삼성의 부품은 아이폰 가격의 16%를 차지한다. 삼성은 또한 그 시장에서 애플의 최대 경쟁사이다. 애플은 이제 자사
제품의 외관과 이미지를 복제했다는 이유로 삼성을 맹렬히 고소하고 있다. 동시에 애플은 공급망을 다양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을 애타게 찾고 있다.
많은 기업이 액정 패널, 플래쉬 메모리, 충전지 같은 기술의 잠재력을 알았다. 하지만 한 번에 수십억을 투자할
능력이 되거나 실행에 옮길 기업은 거의 없었다. 삼성이 이렇게 할 수 있는 이유는 대체로 상황을 지속적으로
흔들어 엎기를 좋아하는 이 회장의 특이한 성격 때문이다. 1993년에 그는 관리자들에게 이렇게 강조한
적이 있다. “부인과 자식들을 뺀 모든 것을 바꾸시오.” 3년
후 그는 일부에 결함이 있다는 이유로 15만 개의 전자 제품을 폐기했다. 다른 기업의 사장들은 대개 변화를 주도하려면, 노키아 사장인 스테판
엘롭의 명언처럼 “활활 타는 발판”과 같은 위기를 직면해야
한다. 삼성은 일이 잘 돌아갈 때 변화를 준다. 이 기업은
세계 금융 위기에도 기록적인 수익을 냈으면서 지난 2년간 나이 든 관리자들을 해고하고 부서를 구조 조정했다.
영구적인 위기 의식에 의한 경영은 기업의 민족적 근원이 반영되어 있을 지도 모른다. 삼성 그룹이 창립되던 1960년, 끝난 지 얼마 안 된 전쟁으로 피폐해진 한국은 수단과 같은 규모의 GDP를 가졌다. 한국의 마지막 독재 정권은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기 불과 2년 전에 몰락했다. 오늘날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생활 수준을 누리고 있지만 몇 가지 점에서는 아직 신흥 시장과 같다. 한국에는 부패가 심심치 않게 발견되고, 일부 경제 구조는 봉건 사회와 경계를 같이 한다.
애플 아이폰의 얼마나 많은 부분이 실제로 삼성에서 왔는지
본 지의 “상세분석” 정보화 그림에서 알아보세요.
삼성도 한국처럼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양 쪽에 발을 담그고 이득을 보곤 했다. 삼성은 항상 주요 IT 기업과 서구 세계 소비자를 위한 물건을 생산해왔지만
그 물건은 또한 빈곤 국가를 겨냥하기도 했다. 이 점은 삼성의 규모를 성장시키기도 했을뿐더러 세계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국가들에서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게 했다. 서구 사회 기업들은 최근 불황에서
허우적거리고 있었던 반면, 삼성은 성장을 멈춰본 적이 없는 시장에서 매출을 올리며 성장했다.
무릎 위 노트북에서 지붕
위 태양열 판으로
삼성이 전망을 확보한 다섯
개의 신사업 분야 중 일부는 이 기업이 이미 진행하고 있는 사업과 그렇게 동떨어져 있지는 않다. 삼성의
반도체 및 평면 TV 분야에 대한 경험은 태양 전지와 LED 조명에
쉽게 부합된다. 기술과 재료, 생산 공정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삼성의 전자 제품 배터리에 대한 노하우는 자동차 규모의 배터리 제조 과정을 용이하게 한다. 삼성은 놀랍게도 갈수록 저렴해지는 칩 기술을 핸드폰에 적용했듯이 의료 기구에 적용하기를 바라고 있다. 의약품도 사업 진행 측면에서 보면 그리 멀리 떨어진 분야가 아니다. 낮은
결함율을 가진 대량 생산 사업이기 때문이다. 삼성은 이 모든 분야에 마치 한국의 지리적 형세처럼 값싼
제품이 있는 중국과 비싼 고품질 제품이 있는 일본 사이에 안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태양 에너지 분야에서 삼성은 가정용과 산업용 둘 다를 위한 열판 제작을 계획하고 있다. “공공재 규모” 프로젝트를 위한 열판 생산은 주택 시장용으로 가격을
낮추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사업의 책임자인 최창식 씨는
브랜드 후광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즉, 거실을 삼성 제품으로 채운 소비자는 지붕 위에서도 같은 회사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TV 시장에 대한
삼성의 지배력을 보면 삼성은 이미 세계 2위 규모의 LED 부품
제조업체이다. (일본의 니치아가 1위이다.) 기존 백열등 전력의 소량을 소비하고, 더 오래 가며, 1세대 대체품인 소형 형광등의 일부 결점이 없기 때문에 LED는
결국 모든 종류의 조명에 대한 표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시장은 매년 65%씩 성장하고 있다. 삼성은 이미 한국에서 LED 조명을 판매하고 있고, 곧 해외 판매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 시장에서 삼성은 다른 기업에 부품을 공급하는 전략을 고수함으로써 자사 제품 비용을 낮출 것이다.
전기 자동차 배터리 분야에서
삼성은 세계 최대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이자 전력 및 엔진 관리 전문가 집단인 보쉬와 협력관계를 맺었다. 삼성은 SB 라이모티브와의 협력 관계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자동차 사업은
제조업체와 부품업체의 긴밀한 유대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이다. 닛산과 도요타 같은 몇몇 자동차 업체는
독립적으로 배터리 개발을 계속하겠지만 삼성은 많은 자동차 회사가 석유 사업을 하지 않는 이치와 마찬가지로 배터리 사업을 하지 않을 것이며, 그런 회사들이 큰 수요자가 될 것이라 보고 있다. SB 라이모티브의
주요 고객 중에는 크라이슬러와 BMW가 있다.
의료 기기 분야에서 삼성은
정보 기술을 이용해서 비용을 낮추고, 기능을 추가하여 더 많은 사람들,
특히 빈곤층이 의료 기기를 접할 수 있게 하려 한다. 예를 들어 삼성은 환자들에게 방사선을
더 적게 노출시킴으로써 물리적인 막을 제거하는 엑스레이 기기를 개발하고 있다. 작년에 삼성은 경쟁사
제품보다 더 작고 저렴하며, 전력을 적게 쓰면서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임상 혈액 성분 분석기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4월에는 시장 진입을 촉진하는 일환으로 한국의 초음파 장비 업체인 메디슨을 인수했다. 삼성은 전신 스캐너 업체도 인수할 예정이다.
생명 공학 의약품 분야에서
이 회사는 유사 의약품 계약 제조업체로 시작할 계획이며, 의약품 중개업체인 퀸틸과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이런 전략은 삼성에 상업적 위험 부담을 낮춰주면서 경험을 쌓게 한다. 삼성은
서울 외곽에 공장을 짓고 있으며, 이미 2016년에 만료되는
특허 의약품의 복제품 개발을 시작했다.
기존 및 신흥 세력
이런 시장들은 분명히 유망하지만
거대한 위험이 따른다. 삼성의 투자 규모가 과거에 투입했던 압도할 만한 위력과 비슷한 것도 아니다. 태양열과 LED 사업은 이미 공급 과잉 상황을 겪고 있다. 즉, 삼성은 평면 액정 화면 사업에서 목격한 똑같은 급격한 가격
추락으로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전기 자동차 배터리 시장도 배터리를 장착할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낮으면
비슷한 처지에 놓일 수 있다. 이 시장은 또한 중국 업체들과 경쟁 구도에 있고, 의료 기기와 의약품 분야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소비 가전 시장의
불가항력 변수를 피하기 위한 도전으로 삼성은 새로운 부류의 신흥 거대 기업들이 공략하기 가장 좋은 분야로 무턱대고 전환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의약품 사업에서 늘 일어나는
일 중 하나인 매입 또한 과제이다. 즉, 무엇을, 언제 구입할 지 아는 능력은 삼성이 기존에 개발하지 않았던 기술이다. 정부의
규제 담당관들을 다루는 능력도 마찬가지다. 삼성이 국내에서 차지하는 최고급 중요성은 다른 국가 정부를
상대하는 능력에 대해 그릇된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다.
국내 거물급으로서의 위상은
다른 곳에서는 방해물이 될 수 있다. 협력사와의 작업에는 폐쇄적인 기업 문화와 상치하는 정보 공유와
공동 성공이라는 관점이 뒤따른다. 삼성이
끌어들여야 하는 국제적 인재도 이 회장이 삼성의 성공을 일구기 위해 이용해 온 국가적 위상에 대한 훈계와 호소로 움직일 것 같지는 않다. 그들은 사실 그런 것들을 피곤해할 지도 모른다.
삼성의 경쟁사들은 싸울 태세를 갖추고 있다. 필립스와 GE는 수년 간 신흥 시장 기업들과의 경쟁을 위해 준비해오면서 저렴한 제품을 기획하고 고객들과의 기존 관계를 공고히 해왔다. 도시바는 향후 3년간 정상적인 자본 지출과 연구, 인수와는 별도로 에너지 및 환경 분야에 9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파나소닉 회장인 푸미오 오츠보는 경쟁사 삼성의 낮은 가격 정책을 칭찬하지만 그의 회사가 더 높은 수준의 기술을 개발한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자유무역 협정이나 낮은 법인세를 포함하는 기타 장려책에 대해 같은 조건을 가질 수 있다면 경쟁할 만 하다.” 그의 말이다.
의료 기기 분야에서 삼성은 필립스나 지멘스, 도시바, 히타치, GE 같은 기업들과 경쟁할 것이다. (삼성은 1984년부터 2004년까지
이들 기업에 의료 장비를 제공했다.) GE의 인도 지사가 심전도 기기 가격을 2,000 달러에서 400 달러로 낮춘 일은 유명하다. 그리고 병원들이 한 업체에서 여러 장비를 구입해서 원칙상 모든 장비가 맞물려 돌아가기를 선호한다는 사실은 값이
싸더라도 비전문 업체를 불리한 처지에 놓는다.
그럴지언정 아마 가장 큰 난제는
계승 문제일 것이다. 69세 회장의 아들인 43세 이재용은
작년 12월 사장이 되었다. 그의 부친과 창업자인 조부처럼
일본에서 유학하고, 하버드 경영 대학원을 나온 그는 처음부터 훈육되었다. 그의 첫 번째 시험은 삼성의 기업 경영에 가로놓인 불투명한 유기 관계와 이해 갈등의 실타래를 개혁하는 일일
것이다.
“삼성 그룹”은 흔히 알려져
있듯이 법적 주체가 없다. 이 83개 기업이 에버랜드라는
최상위 기업 아래에 있고, 에버랜드는 이씨 일가가 지분 46%을
보유하여 지배권을 갖고 있다. 이씨 일가는 또한 다른 삼성 기업체의 소액 주주인데 이들 기업은 흔히
삼성 그룹, 즉 실제로는 에버랜드 안에 있는 다른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 가족과 관련 인사가 삼성 생명보험사의 21%를 소유하고, 삼성 생명은 삼성 카드사의 26%를 소유하며, 삼성카드는 또한 에버랜드의 26%를 차지한다. 이해하겠는가? 이씨
일가 외의 누구도 실제로 그렇게 하지 않는다.
삼성은 이 회장의 작고 후에
있을 50%에 해당하는 한국의 엄청난 상속세를 피할 수 있다면 변혁해야 한다. (이 회장의 부친은 향년 77세에 타계했다.) 상속세는 이씨 일가의 지분을 훨씬 더 갉아먹을 것이라고 증권중개업체 CLSA의
숀 코란 씨는 말한다. 그는 지주 회사가 만들어져서 투자자들이 삼성 그룹의 다른 부분을 더 명확하게
볼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이재용 사장은 또한 부패를 척결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해 그의 부친은 종종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불평해왔다. 이
회장은 2008년에 세금 포탈 확정 선고를 받고 2009년
국가에 대한 중요도를 근거로 사면받았다.
사업 종료 시점
이 회장은 성공적인 기업들이
중년을 맞이하여 비대해지는 현상을 두려워한다. 그는 소니에서 그 점을 보았다. 1946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1990년대 이후로 고군분투해왔다. 삼성전자는 2009년에 40세가
되었고, 이 점은 이 회장이 다섯 개의 신규 성장 분야를 위한 기반 설립을 재촉하게 했다. 다양화는 필수적이다. 1990년대 중반에 삼성의 수익 중 거의 대부분이
디램 메모리 칩 분야에서 나왔다. 이 시장이 1996년 퇴보를
겪자 삼성의 수익은 95% 가량 빠져나갔다.
삼성은 “정보 오락”을 “생활 관리”로 교체하는 중일 수 있겠지만 아직 하드웨어 사업을 하고 있고, 이
점이 생각보다 삼성을 더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 오늘날 컴퓨터와 전자제품 분야의 거물급 기업들 중
많은 수가 다같이 제조업에서 빠져 나오고 있다. IBM은 서비스 사업으로 이동해왔고, 일본의 후지쯔가 뒤를 따랐다. 한편, 필립스와 지멘스는 둘 다 IT 사업을 팔고 다른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손을 떼는 것은 삼성이 능숙한 분야가 아니다. 위기
상황에 대한 끊임없는 헌신에도 불구하고, 간접적인 보조 자금과 약한 주주 압력, 가족 경영이라는 특성은 혼재되어 위험한 결정에 너무 오랜 시일을 끌게 했다.
아시아 금융 위기 때문에 짧게 끝나버린 자동차 사업 진입이나 최근에서야 접은 하드 드라이브 제조 사업이 그런 경우이다.
200억 달러의 자금으로도 판의 크기에 비해 건 돈이 너무 적을 수 있다. 어쩌면 삼성에게 가장 큰 위험은 판돈을 회수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가망 없는 도박판에 판돈 대기를 멈추지
못하는 일일 것이다. 모험할 때를 아는 것은 훌륭한 재능이다. 물러설
때를 아는 것도 그렇다.
출판본 | 요약
'The Economist(영>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시험 (0) | 2012.01.19 |
---|---|
Exams in South Korea (0) | 2012.01.19 |
중국의 경제 분야 의사 결정 (0) | 2012.01.09 |
China’s economic decision-making (0) | 2012.01.09 |
Samsung - The next big bet (0) | 2012.01.09 |
Samsung
The next big bet
The world’s
biggest information-technology firm is diving into green technology and the
health business. It should take care; its rivals should take notice
Oct 1st 2011 | SEOUL | from the print edition
IN 2000 Samsung
started making batteries for digital gadgets. Ten years later it sold more of
them than any other company in the world. In 2001 it threw resources into
flat-panel televisions. Within four years it was the market leader. In 2002 the
firm bet heavily on “flash” memory. The technology it delivered made the iPhone
and iPad a reality, and made Samsung Apple’s biggest supplier—and now its
biggest hardware competitor.
The handsome
payoffs from these ballsy bets made the South Korean company a colossus; last
year its sales passed $135 billion. Now it is embarking on a similarly
audacious plan to move away from electronics into technologies where it barely
has a presence today. It intends to spend $20 billion over ten years on solar
panels, light-emitting diodes (LEDs) used for lighting, electric-vehicle
batteries, medical devices and biotech drugs. These businesses shift Samsung
away from easily substitutable gadgets towards more essential industrial goods
(see table)—or from “infotainment” to “lifecare”, as the company puts it. Just
as electronics defined swathes of the 20th century, the company believes green
technology and health care will be central to the 21st.
With these plans
Samsung sees itself bringing technologies that are vital for society into much
broader use. The company has always had an eye for more than just the bottom
line, seeking both to epitomise and to further the progress of its home
country. Now it talks idealistically of improving the world by driving down the
costs of zero-carbon power and providing poor countries and rural areas with
medical equipment and drugs that they cannot afford today.
But the plans
are also an ambitious industrial power play, one that challenges some of the
world’s biggest companies. Success would raise Samsung to new heights. Failure
could lead to the firm losing what it already has, no longer able to flourish
just as a maker of commodity gadgets and components.
The 83 firms
that are tied together in Samsung’s remarkably complex structure provide 13% of
South Korea’s gross exports. Samsung Electronics, the biggest of them, started
making transistor radios in 1969, and has since evolved into the world’s
leading manufacturer of televisions and much else. It is on track to unseat
Nokia as the biggest maker of mobile phones by volume next year. Interbrand, a
consultancy which seeks to calculate brand value, puts it in the world’s top
20, ahead of Sony and Nike. It has come second only to IBM in the number of
patents earned in America for five years running.
Yet Samsung
wants to diversify away from consumer electronics, a market that suffers from
falling prices, thin margins, fast product cycles and fickle customers. Chinese
rivals may do to Samsung what Samsung did to Western and Japanese firms in the
past. “The majority of our products today will be gone in ten years,” Samsung’s
patriarch and chairman, Lee Kun-hee, told executives in deliberately alarmist
tones last January.
To survive, he
said, the company must not only go into the new businesses it has identified,
but open itself up to work with partners and even make acquisitions. Samsung
has long been a closed world from that point of view, a disposition reinforced
after the disastrous acquisition of a PC maker in the 1990s. But now the
company knows it needs new skills, sales channels and customers.
Doing it the
Samsung way
By 2020
Samsung’s Mr Lee wants the five new business areas to provide $50 billion of
revenue, and Samsung Electronics to be a $400 billion company (for all his
provocations to his staff, there are still going to be a lot of flat screens
and memory sold). It is a brash goal, admits Inkuk Hahn of Samsung’s strategy
team. But ten years ago people were incredulous when Mr Lee insisted that
Samsung, which then had sales of $23 billion, could be the number-one
technology company, with sales of $100 billion. It claimed that crown just
eight years later. “This is why you have to believe us,” Mr Hahn insists.
The new
businesses look remarkably disparate, but they share a need for big capital
investments and the capacity to scale manufacture up very quickly, talents the
company has exploited methodically in the past.
Samsung’s
successes come from spotting areas that are small but growing fast. Ideally the
area should also be capital-intensive, making it harder for rivals to keep up.
Samsung tiptoes into the technology to get familiar with it, then waits for its
moment. It was when liquid-crystal displays grew to 40 inches in 2001 that
Samsung took the dive and turned them into televisions. In flash memory,
Samsung piled in when new technology made it possible to put a whole gigabyte
on a chip.
When it pounces,
the company floods the sector with cash. Moving into very high volume
production as fast as possible not only gives it a price advantage over
established firms, but also makes it a key customer for equipment makers. Those
relationships help it stay on the leading edge from then on.
The strategy is
shrewd. By buying technology rather than building it, Samsung assumes execution
risk not innovation risk. It wins as a “fast follower”, slipstreaming in the
wake of pioneers at a much larger scale of production. The heavy investment has
in the past played to its ability to tap cheap financing from a banking sector
that is friendly to big companies, thanks to implicit government guarantees
much complained about by rivals elsewhere.
From crisis to
crisis
Competitors also
balk at the way that Samsung scales up quickly to supply parts to other firms
as well as to price its own gadgets keenly. Supplying the rest of industry
drives down Samsung’s costs yet further, with its rivals in effect financing
its success. This strategy can create problems. Samsung is Apple’s most
important supplier in the smartphone and tablet-computer markets. Samsung
components, which include all the product’s application processors, account for
16% of the value of an iPhone. It is also Apple’s greatest competitor in those
markets. Apple is now suing the socks off the company for copying the look and
feel of its products. At the same time it is urgently seeking new ways to
diversify its supply chain.
Many companies
saw the potential of technologies such as liquid-crystal panels, flash memory
and rechargeable batteries. But few could or would invest billions in a single
shot. That Samsung could is in large part due to a cult of personality around
Mr Lee, who likes to keep things shaken up. “Change everything but your wife
and children,” he exhorted managers in 1993. Three years later he lit a bonfire
of 150,000 gadgets because some were defective. Other bosses often need to face
a crisis—a “burning platform”, in the memorable phrase of Stephen Elop, Nokia’s
boss—before they make changes. Samsung does so when things are going well. The
company has pushed out older managers and restructured its divisions over the
past two years despite posting record profits even in the global financial
crisis.
Management by
perpetual crisis is perhaps a reflection of the company’s national roots. In
1960, when the Samsung companies were taking off, South Korea, battered by
recent war, had a GDP the same size as Sudan’s; its last dictatorship fell only
two years before the Berlin Wall. Today, though it enjoys one of the world’s
highest living standards, South Korea is still an emerging market in some ways,
with endemic corruption and some economic structures that border on the feudal.
Find out how much of an Apple iPhone is
actually a Samsung with our "teardown"
infographic
Samsung, like
its host country, has a foot in both the industrialised and developing worlds,
which it has used to its advantage. While it has always produced things for
major IT firms and Western consumers, it has aimed products at poor countries,
too. This not only gave Samsung scale, but also market shares in the world’s
fastest-growing economies. Whereas Western firms reeled in the recent
recession, Samsung flourished, buoyed by sales in markets that never stopped
growing.
From laptop to
rooftop
Some of the five
new businesses Samsung has set its sights on are not that far from what the
company does already. Its experience in semiconductors and flat-screen
televisions fits easily with solar cells and LED lighting: the technology,
materials and production processes are similar. Likewise, its expertise in
batteries for gadgets smooths the way for making car-sized ones. The firm wants
to apply the magic of ever cheaper chips to medical devices as it did mobile
phones. Even drugs aren’t so far afield when one sees them in business-process
terms: high-volume manufacturing with low defect rates. In all these fields
Samsung believes it can sit—rather as Korea does geographically—in between
China, with its cheap products, and Japan, with its costly, high-quality ones.
In solar energy
Samsung plans to make panels for both domestic and industrial use. Producing
panels for “utility-scale” projects may allow it to lower prices for the
residential market. Changsik Choi, who heads the business, also speaks
optimistically of a “brand halo effect”: consumers whose living rooms are
stuffed with Samsung products may choose the company for their rooftops too.
Samsung’s
dominance of the television market has already made it the world’s
second-largest maker of LED components (Japan’s Nichia is the first). Since
they consume a fraction of the power of conventional light bulbs, last longer
and avoid some of the drawbacks of compact fluorescents, the first-generation
alternative, LEDs are expected eventually to become the norm for all sorts of
lighting; the market is growing by 65% a year. Samsung already sells LED
lighting in South Korea and plans soon to expand abroad. In this market it will
hew to its strategy of supplying parts to others, thereby lowering costs for
its own products.
In
electric-vehicle batteries Samsung has joined forces with Bosch, the world’s
biggest supplier of car parts and a fount of expertise on power- and
engine-management. Samsung sees their partnership, SB LiMotive, as crucial
since the car business relies on close ties between carmakers and their
suppliers. Some carmakers, like Nissan and Toyota, will continue developing their
own batteries, but Samsung thinks that many carmakers will not want to be in
the battery business, just as they are not in the petrol business, and that
they will be a rich source of demand. Chrysler and BMW are among SB LiMotive’s
first customers.
For medical
devices Samsung aims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to lower costs, add features
and make devices accessible to more people, particularly the poor. For example,
it is developing X-ray machines that expose patients to less radiation and do
away with physical film. Last year Samsung began selling a machine for testing
patients’ blood chemistry that is smaller, cheaper, uses less power and offers
more functions than rivals’ devices. In April it bought Medison, a South Korean
maker of ultrasound equipment, as a way to get further into the market: it is
looking at buying body-scanner firms too.
In biotech drugs
the company plans to begin as a contract manufacturer of biosimilars (generic
versions of biotech drugs) and has partnered with Quintiles, a drug outsourcer.
The strategy lets Samsung gain experience while assuming little commercial
risk. It is building a factory outside Seoul and has already begun developing
biosimilars for medicines with patents that expire in 2016.
Incumbents and
incomers
The markets are
certainly promising, but they entail huge risks. Nor is the size of Samsung’s
commitment quite on a par with the overwhelming force it has deployed in the
past. The solar and LED businesses already struggle with oversupply, meaning
Samsung may get walloped by the same dramatic price erosion as it has seen in
liquid-crystal flat panels. Electric-vehicle batteries may be in similar
straits if demand for the cars they might power remains sluggish. They are also
in the crosshairs of Chinese companies, as are medical devices and drugs. In a
bid to escape the vagaries of consumer electronics, Samsung may be ploughing
headlong into the areas most ripe for invasion by a new breed of
emerging-market titans.
Acquisitions, a
way of life in the drug business, are also a challenge: knowing what to buy and
when is a skill that Samsung has never developed. The same applies to dealing
with government regulators: Samsung’s towering importance at home may give it a
false confidence in its ability to handle governments elsewhere.
Its position as
a domestic titan could be a hindrance in other ways. Working with partners
entails sharing information and a view of joint success that is at odds with
its insular corporate culture. The international talent the company will need to
attract is also less likely to be moved by the admonishments and appeals to
national grandeur that Mr Lee has used to build Samsung’s success. They might,
indeed, find such things wearisome.
Samsung’s rivals
are ready for a fight. Philips and GE have been preparing to compete with firms
in emerging markets for years, devising cheap products and building on existing
relationships with clients. Toshiba plans to spend an extra $9 billion in the
energy and environment sectors over the next three years on top of its normal
capital expenditure, research and acquisitions. Fumio Ohtsubo, Panasonic’s
boss, praises his Samsung rivals for their low prices but believes his company
develops superior technology. “If we can get the same conditions in terms of
free-trade agreements, low corporate taxes and other incentives, then we should
be able to compete,” he says.
In medical
devices Samsung will be up against firms like Philips, Siemens, Toshiba,
Hitachi and GE (for which Samsung made medical equipment between 1984 and
2004). GE’s Indian office famously reduced the cost of an electrocardiogram
machine from $2,000 to $400. And the fact that hospitals prefer to buy
different equipment from a single vendor so that, in principle, everything
works together puts a maker of this-and-that at a disadvantage, even if it is
cheap.
Perhaps the
biggest challenge, though, will be one of succession. The 69-year-old
chairman’s son, Jay Y. Lee, 43, was named president last December. Educated in
Japan (like his father and grandfather, the firm’s founder) and at Harvard
Business School, he has been groomed from the start. His first test will be
reforming the jumble of opaque, interlocking relationships and conflicts of
interest that passes for Samsung’s corporate governance.
The “Samsung group”,
as it is often known, has no legal identity. The 83 firms sit under an umbrella
company called Everland, in which the Lee family has a controlling 46% stake.
The family also has minority positions in other Samsung firms, which often hold
shares in other members of the group, and indeed in Everland. For example, the
family and related interests own 21% of Samsung’s life-insurance firm, which
owns 26% of its credit-card business, which in turn owns 26% of Everland. Get
it? Nobody other than the Lees really does.
The company must
change if only to avoid South Korea’s devastating 50% inheritance tax after the
elder Lee’s passing (his father died at the age of 77). That would further
whittle the family’s stakes, notes Shaun Cochran of CLSA, a broker. He expects
a holding company to be formed, so investors have clearer exposure to the
different parts of Samsung’s businesses. The younger Lee will also need to root
out corruption, which his father often complained about without rising above
it; the elder Lee’s 2008 conviction for tax evasion was pardoned in 2009 on the
ground of his importance to the country.
When the dealing’s
done
Chairman Lee’s
fear is that successful companies get flabby when they hit middle age. He saw
that in Sony, founded in 1946, which has been struggling since the 1990s.
Samsung Electronics turned 40 in 2009, which prompted Mr Lee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five new growth areas. Diversification is essential. In the
mid-1990s almost all of its profits came from DRAM memory chips: when the
market soured in 1996, its profits shrivelled by 95%.
Samsung may be
swapping “infotainment” for “lifecare”—but it is still in the hardware
business, and that may leave it more vulnerable than it thinks. Many of today’s
computer and electronics giants are getting out of the manufacturing businesses
altogether. IBM has shifted to services, trailed by Japan’s Fujitsu, while
Philips and Siemens both sold their IT businesses to focus on other areas. But
getting out of things is not something Samsung is good at. Despite a commitment
to perpetual crisis, a mixture of implicitly subsidised capital, weak
shareholder pressure and family control has allowed it to stick too long with
dodgy decisions—such as its move into cars, brought short only by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its only-now-ended commitment to hard-drive manufacture.
Even with a $20
billion bankroll, bets can be spread too thin. Perhaps the biggest risk for
Samsung is not that none of its wagers will win, but that it won’t be able to
stop betting on the ones that don’t. Knowing the right time to bet is a great
gift. So is knowing the right time to walk away.
from the print
edition | Briefing
'The Economist(영>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시험 (0) | 2012.01.19 |
---|---|
Exams in South Korea (0) | 2012.01.19 |
중국의 경제 분야 의사 결정 (0) | 2012.01.09 |
China’s economic decision-making (0) | 2012.01.09 |
삼성의 새로운 도박 (0) | 2012.01.09 |